“협력사 고충처리 상생鼓 신설”… LG, 하도급 100% 현금 등 자금·인력·기술 지원

입력 2010-08-12 21:20

LG그룹이 중소 협력사와의 상생협력에 관한 5가지 전략과제를 추진한다고 12일 밝혔다. 지난달부터 시작된 정부의 압박으로 재계가 연일 상생방안을 쏟아내고 있지만 그룹 차원의 종합대책을 내놓은 것은 LG가 처음이다. 조만간 다른 주요 그룹들의 발표가 이어질 전망이다.

LG는 2·3차 협력사 자금지원 확대, 인력육성 지원, 기술개발 지원, 신사업 차세대 기술 공동개발, 고충처리 전담 ‘상생고(相生鼓)’ 신설 등을 5대 상생 과제로 확정했다.

우선 2·3차 협력업체도 저금리로 대출받을 수 있는 연간 2500억원 규모의 ‘LG 상생협력펀드’가 다음달에 조성된다. 1차 협력사에 LG가 직접 대출해주는 액수도 지난해 140억원에서 올해 700억원으로 대폭 오른다. 이미 시행 중인 금융지원 프로그램에 직접 대출과 상생협력펀드까지 합하면 금융지원 규모는 연간 7400억원에 달한다.

아울러 LG는 앞으로 LG전자와 LG디스플레이, LG화학, LG이노텍 등 주요 계열사부터 하도급 회사에 대한 대금 지급을 100% 현금으로 해 나갈 방침이다. 지급 기일도 월 1∼4회에서 2∼6회로 늘어난다. 또 LG는 중소기업에 녹색 신사업 분야 연구개발(R&D) 용역을 발주하면서 내년부터 5년간 1000억원 규모로 연구개발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신사업 차세대 기술을 공동 개발할 협력사는 오는 12월 초에 선정된다.

이밖에 LG는 그룹 교육시설인 LG인화원에 ‘협력회사 인재개발센터’를 설립하고 협력사들의 고충을 처리하는 온라인 ‘상생고’도 마련키로 했다. LG 관계자는 “이번 방안은 일시적, 단발성 지원이 아닌 기업의 사회적 책임 요구에 부응하는 장기적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LG에 이어 포스코가 18일 상생협력 및 공정거래 협약식을 열고 상생방안을 발표한다. 포스코는 그동안 1차 협력사로 제한됐던 원가절감액 공유(베네핏 셰어링), 현금결제 등을 전체 협력업체로 확대하는 방안을 내놓을 계획이다. 정준양 포스코 회장은 최근 운영회의에서 “상생경영은 기업에 주어진 숙명”이라며 “앞으로 임원평가에 상생경영 실천 항목을 포함시키라”고 지시한 바 있다.

지난 10일 미소금융 사업 확대방안을 발표한 삼성은 이르면 다음주에 1차 협력사 범위 확대를 골자로 하는 종합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현대자동차그룹은 부품용 철판을 일괄적으로 사서 협력사에 구입가격으로 공급하는 ‘사급제도’ 대상을 2·3차 협력업체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또 현대·기아차의 해외 진출 시 2·3차 협력사와의 동반 진출도 적극 추진키로 했다.

천지우 최정욱 기자 mog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