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회고사·훈화 등 교육현장 日 잔재 여전
입력 2010-08-12 18:04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는 12일 교육계에도 일제 잔재가 여전하다며 일제 용어 청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교총은 대표적인 일본식 용어로 유치원(幼稚園)이라는 표현을 들었다. 과거 일본학자들이 독일어 킨더가르텐(Kindergarten)을 유치원으로 번역한 데서 비롯된 말이라는 것이다. 지난해 8월 한나라당 이군현 의원은 유치원이라는 용어를 유아학교로 변경하는 내용 등을 담은 유아교육법 개정안을 발의했지만 아직 심의되지 않고 있다.
교총은 학교장의 회고사(回顧辭)나 훈화(訓話), 학년말 평가를 뜻하는 사정회(査定會) 등의 일본식 조어가 여전히 교육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학교의 엄격한 두발과 복장 검사도 일본식 군국주의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다. 최근 진보 성향 교육감들이 학생인권 신장 차원에서 폐지 방침을 밝히기도 했지만 아직도 대부분 초·중·고교에서는 엄격하게 두발과 복장을 단속하고 있다.
지금은 사라진 군대식 거수경례, 애국조회 등도 대표적인 일제 잔재다. 30·40대 이상 세대에 익숙한 국민학교라는 표현도 일제가 황국신민 양성을 위해 만든 용어라는 지적에 따라 1996년 초등학교로 바뀌었다.
태극기를 액자 안에 넣어 교실에 걸어두던 것도 일제 잔재로 정부는 2002년 액자 태극기를 족자형 등으로 바꾸도록 권장해 현재 액자형 태극기는 거의 사라진 상태다. 국어, 국사라는 표현도 일제가 자국 역사를 표현하던 방식에서 유래한 것이므로 한국어, 한국사 등 객관적인 표현으로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전문가들은 일제 군국주의 문화에서 유래된 언어와 일본식 외래어는 구분해서 봐야 한다고 지적한다. 서양 근대 문화나 용어가 대부분 일본을 거쳐 한국으로 들어왔기 때문에 무조건 배척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전우용 서울대병원 병원역사문화센터 교수는 “국민체조나 국민의례 등 군국주의적 문화와 용어는 바꿔야 하지만 단순히 일본식 용어라고 무조건 배척할 순 없다”고 말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