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내부서도 ‘민간사찰 부실수사’ 맹비난

입력 2010-08-12 18:18

검찰의 민간인 불법 사찰 사건 중간수사 결과에 대한 여당 내부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사찰 피해자로 거론되는 한나라당 의원들이 검찰 개혁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나서 파문이 커지는 양상이다.

한나라당 정두언 최고위원은 12일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군사독재 시대에나 있었던 정치인 사찰이 발생했으나 검찰이 적당히 덮었다”면서 “검찰이 실체를 밝히지 못한 게 아니라 안 한 게 분명하다”고 주장했다. 정 최고위원은 “민간 기업이 수사를 받다 (컴퓨터) 하드디스크를 파괴했다는 얘기는 들어봤어도 정부기관에서 파기했다는 얘기는 들어보지 못했다”며 “누가 지시했는지, 왜 했는지를 밝히지 못하면 검찰이라고 할 수 없다”고 말했다. 또 “과거 권위주의 시대 검찰도 이 정도는 아니었다. 검찰 전체의 문제가 아니라 출세욕에 눈 먼 일부 검찰 간부의 책임”이라고 지적했다.

정태근 의원은 개인 성명을 내고 “이번 사찰은 이명박 정부 차원에서 이뤄진 게 아니라 권력 사유화의 유혹에 빠져든 소수세력이 지역적 인맥을 바탕으로 ‘무리해서 확대한 자신들의 권력’을 보호·유지하기 위해 자행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검찰의 중간수사 결과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당시 수사관 2명만 구속한 것으로 수사를 마무리하려던 것을 연상케 한다”며 “(문제의) 심각성을 애써 외면하려 한다면 국민은 검찰이 거래를 한 것 아닌가 하는 의혹을 갖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남경필 의원도 라디오에 출연, “검찰 수사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으면 나름대로 아는 내용을 갖고 수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 등 정치적 행동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한편 민주당 ‘MB정권 국민 뒷조사 진상규명특위’ 위원장인 박영선 의원은 “검찰은 컴퓨터 파일이 전부 삭제됐다고 하지만 일부 직원의 컴퓨터는 삭제 안 된 상태라 검찰도 온전한 파일 일부를 확보하고 있다는 제보가 들어왔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검찰이 발표와 달리 온전한 일부 파일을 갖고 있다는 증거”라며 관련 서류를 공개했다.븲관련기사 3면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