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들, 기업 모시기 총력전 “미끼가 커야”… 파격적인 지원·혜택 제공
입력 2010-08-12 18:56
최고 2억원의 성과금, 온라인 공장설립 지원 시스템, 전국에서 가장 싼 공장부지 제공.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역경제 활성화와 인구 늘리기를 위해 기업 유치에 사활을 걸면서 ‘미끼’도 한층 크고 다양하게 변하고 있다.
‘기업 2000개 유치’를 목표로 내세운 전남도는 최근 ‘국내외기업 및 자본투자 유치를 위한 지원조례’ 시행규칙을 개정, 기업유치에 공이 있는 도민에 대해 표창과 성과급 지급액을 최고 2억원까지 대폭 확대키로 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기업유치시 공무원들에게 지급하는 포상금보다 최고 7배 많은 금액이다. 기업유치를 위해서는 행정기관뿐만 아니라 전 도민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가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전북도는 이전하는 기업체에 최대 100억원의 투자보조금을 지원하는 한편 해마다 모범기업 4개 회사를 선정해 격려금을 주면서 ‘기업인의 날’ 행사를 갖도록 하고 있다. 장성군은 오는 23일부터 공장 설립 관련 인·허가 등 제반 절차를 온라인에서 처리할 수 있는 ‘공장설립 온라인 지원 시스템’을 도입, 관련 업무를 간편화하기로 했다.
강원도는 ‘기업 및 투자유치 촉진조례’ 시행규칙을 개정, 본사를 강원도내로 이전하는 기업에게 전국에서 가장 낮은 가격의 부지를 제공하기로 했다. 도는 부지 조성단가를 낮추기 위해 국·공유지를 기업에 직접 공급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기존에는 신규 채용인원이 20명 이상일 때만 지원하던 고용보조금 및 교육훈련 보조금을 10명 이상으로 조건을 완화했다.
인천시는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해 경제수도추진본부를 신설하고 투자유치담당관을 두는 등 기업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 외국인투자기업은 경제자유구역에 들어올 경우 취·등록세를 15년간, 재산세는 13년간 감면하고 있다. 부산시도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해 개방형 직위를 신설, 초대 투자기획본부장에 조돈영(62) 전 르노삼성자동차 부사장을 선임했다.
울산시는 지역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기업사랑운동’을 추진하기로 했다. 시는 전국에서 가장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기업애로 제로화 등 시민과 함께하는 기업사랑운동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시는 공장부지 제공, 세제 혜택, 신속한 공장 인·허가 등 투자부터 공장 건설까지를 원스톱 체제로 지원하고 있다.
전국종합=이상일 정동원 기자 silee06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