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폭발위험 안고 시내버스 달린다니

입력 2010-08-10 17:41

‘시민의 발’로 불리는 서울 시내버스가 폭발했다. 백주의 대로를 주행하던 버스에서 연료통이 터져 승객 12명과 행인 5명이 다쳤다. 그것도 친환경 연료를 쓴다고 자랑하던 CNG(압축천연가스) 버스에서 발생했다. 찌그러져 바닥을 훤히 드러낸 차체는 폭격을 맞은 듯 처참하다. 서울에서 시내버스가 가장 친숙하고 대중적인 교통수단인 점, 이용 승객이 연 16억명에 달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심각한 사고가 아닐 수 없다. 시민들이 받은 충격을 말해주듯 시꺼먼 연기를 내뿜는 동영상과 댓글이 인터넷에 끝없이 올라온다.

이번 사고에서 CNG 자체가 문제라고 볼 수는 없다. 천연가스를 압축한 CNG를 버스 연료로 사용하는 것은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바람직한 일이다. 매연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오존 유발 물질 배출도 경유 버스에 비해 70% 이상 줄어든다. 이 때문에 CNG 버스를 2002년에 도입한 이후 전국적으로 2만여대가 운행 중이며, 2012년까지 보급률을 9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문제는 안전성이다. 모든 기체연료는 기본적으로 위험하기에 가스를 관리하는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 그러나 지난 2007년 12월 경기도 구리에서 주행 중인 차량 폭발 사고가 났고 2008년 7월에는 충북 청주에서, 2009년 7월에는 CNG 용기 폭발 사고가 있었는데도 소관부처인 지식경제부는 용기 회수와 폐기 등의 조치를 취했을 뿐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지 않았다. 일찌감치 문제점이 발견됐는데도 새로운 에너지에 대한 관리 시스템이 따라가지 못했던 것이다.

지금 중요한 것은 시민들의 불안감을 없애는 것이다. 시민들이 시내버스를 기피하면 서울의 교통체계 전체가 무너지는 대란이 발생한다. 지경부와 서울시는 운행 중인 전체 CNG 버스에 대한 안전진단을 실시하고, CNG 버스 연료통에 대한 안전 기준을 강화하며, 관련 법규를 정비하는 등 믿을 수 있는 대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시한폭탄을 매달고 달리는 버스를 누가 타려 하겠나. G20 국제회의를 개최하는 수도의 부끄러운 자화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