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분위, 김문기 전 이사장측 이사 4명 선임… 상지대 분쟁 재점화
입력 2010-08-09 18:26
교육과학기술부 소속 사학분쟁조정위원회(사분위)가 사학비리로 물러났던 김문기 전 상지대 이사장 측 인사 4명을 포함해 9명을 상지대 이사로 새로 선임했다.
사분위는 김 전 이사장을 정이사에서 제외하는 등 현 상지대 구성원들의 반발을 고려했지만 어정쩡한 미봉책에 불과해 학내 분규가 재점화할 것으로 보인다.
사분위는 9일 정부중앙청사에서 전체 회의를 열고 김 전 이사장 측(종전이사)이 추천한 인사 4명, 학교 구성원 추천 2명, 교과부 추천 2명 등 정이사 8명과 임시이사 1명을 선임하기로 의결했다.
종전이사 측이 추천한 김 전 이사장의 아들인 김길남 상지문학원 이사장, 박윤환 변호사, 이석호 성신회계법인 이사, 이영수 전 건국대 홍보실장이 정이사로 선임됐다. 학교 구성원들이 추천한 한이헌 전 경제기획원 차관, 임현진 서울대 교수와 교과부가 추천한 채영복 전 과학기술부 장관, 한송 강릉원주대 총장도 정이사로 선임됐다.
상지대 갈등의 핵인 김 전 이사장은 결국 이사진에서 빠졌다. 교과부 관계자는 “김 전 이사장은 학내 분규 당사자이기 때문에 사분위가 제외했다”며 “조선대 세종대 등 다른 분규 사학에서도 분규 당사자 또는 종전이사를 정이사 명단에 넣은 전례가 없다”고 설명했다.
교과부는 대신 이종서 전 교과부 차관을 임시이사로 선임했다. 교과부는 김 전 이사장 측 이사 4명이 이사회에 한꺼번에 불참하면 의결정족수(5명)에 못 미쳐 이사회를 아예 열 수 없는 점을 견제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임시이사는 종전이사 측에서 적합한 인사를 재추천할 때까지 1년여간 한시적으로 활동한다. 교과부는 선임된 이사들에 대해 약 3주간 신원조회를 거쳐 정식 임명할 계획이다.
그러나 학교 구성원 측과 김 전 이사장 측은 모두 결정을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특히 학교 측은 상지대를 김 전 이사장이 다시 장악하게 됐다며 격렬하게 반발했다.
상지대 비상대책위원회는 “비리 구재단의 학원탈취를 저지하기 위해 전면 불복종 운동을 전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비대위는 교과부에 사분위 결정에 대한 재심을 청구하는 한편 현 사분위 해체 운동에 나서겠다고 선언했다.
김 전 이사장 측 관계자도 “당초 종전이사 측 5명을 이사로 선임하기로 했던 것을 뒤집고 4명만 선임한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교과부는 난색을 표하면서도 현 이사진 구성대로 진행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사분위도 양측의 타협을 촉구하는 권고 의견을 내고 “이번 결정은 학생의 학습권 보장에 최우선을 두고 사학의 자주성과 공공성을 적절히 조화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고 말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