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뛰고 공공요금 들썩… 韓銀, 금리 또 올리나
입력 2010-08-08 18:26
오는 12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8월 정례회의에서 다시 기준금리가 인상되나.
경제지표가 예상을 넘는 호조를 보이는 가운데 물가 상승 요인은 갈수록 늘어나면서 금통위가 지난달에 이어 이달에도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있다는 예측이 늘고 있다.
다만 늘어날 가계부채 부담 등을 고려할 때 금통위가 두 달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하기보다는 공공요금 관리 등 정부의 미시적 대책의 효과를 좀 더 두고 볼 것이라는 분석이 아직은 우세하다.
8월 기준금리 인상 전망은 체감 물가불안이 커지면서 본격적으로 불거지기 시작했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지난달 신선식품 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1%나 올랐다. 이는 6년 만의 최대 상승폭이다. 무 값은 107%, 마늘은 70%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올해 들어 7월(2.6%)까지 2%대에 머무르고 있어도 서민들이 이를 좀처럼 느끼지 못하는 이유다.
게다가 러시아 곡물 수출 중단, 이란 제재 동참에 따른 원유 수급 불안 등 해외발 악재가 국내 물가를 자극할 가능성이 크게 높아졌다.
여기에다 재·보궐선거가 끝나자마자 정부는 공공요금을 일제히 올렸다. 전기요금이 평균 3.5% 올랐고 가스요금과 고속버스 요금도 줄줄이 인상된다.
한은 내부 분위기도 조금씩 변화가 감지된다. 한은 관계자는 8일 “내년에 3% 중반대까지 물가가 오른다는 전망이 제기된 데다 최근 경제가 확장국면으로 볼 수 있다고 할 만큼 좋아 기준금리 인상이 재차 이뤄질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달 금리 인상에 베팅하는 시장 전문가들도 늘고 있다. SC제일은행 오석태 수석전문위원은 “9월 이후에는 국내외 경제지표가 다시 나빠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이달이 금리인상 적기”라고 전망했다. 삼성증권 최석원 채권분석파트장도 금통위가 이달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두 달 연속 기준금리 인상이 쉽지 않다는 지적도 만만찮다. 한 인터넷 매체가 시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8월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 11명 가운데 7명이 동결을 예상했다.
정부는 상하수도료와 시내외 버스요금 등 지방자치단체가 관장하는 공공요금 인상을 최대한 억제할 방침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지방 공공요금을 올리는 지자체에 대해서는 지방교부금을 줄이는 등 예산상 불이익을 주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고세욱 이용상 기자 swk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