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 개각] 4대강·親서민 등 정책연속성 위해 기존 경제팀 컬러 유지

입력 2010-08-08 18:21

8·8 개각에서 현 정부 경제팀은 대부분 유임됐다. 경제부처의 맏형 격인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 진동수 금융위원장과 김종창 금융감독원장,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이 이명박 대통령의 재신임을 받았다.

집권 후반기 4대강,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서민금융 등 현 정부의 명운이 달린 중대 정책 담당 부처의 안정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했다는 분석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8일 “친기업 정부의 친서민 기조를 제대로 이해하는 기존 경제팀 컬러를 그대로 유지하려는 조치”라며 “이미 진행 중인 사업과 정책의 일관성 유지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경제부처 가운데 새로운 수장을 맞은 곳은 고용노동부와 지식경제부다. 그나마 지난달 임태희 전 장관의 청와대 입성으로 공석이던 노동부 장관에 박재완 전 국정기획수석이 내정되고, 지경부 장관 자리도 이재훈 전 차관의 내부승진으로 채워졌다. 특히 개각 때마다 교체 대상으로 거론됐다가 유임된 정 국토부 장관은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 이만의 환경부 장관과 함께 현 정부 최장수 장관이 됐다.

재정부 관계자도 “정부의 친서민 정책 기조가 흔들림 없이 이어질 수 있게 됐다”며 “부처 간 유기적인 협조를 통해 서민에게 다가가는 정책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존 경제팀 유임으로 하반기 국정 방향인 ‘친서민 노선’도 경제정책에 본격적으로 반영될 전망이다. 당장 이달 말로 예정된 정기 세제개편안과 고용대책, 물가안정 방안 등에서도 친서민·중소기업 관련 종합대책이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경제팀의 틀이 유지된 데는 11월로 다가온 G20 회의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 경제부처에서 윤 장관과 진 위원장의 교체를 예상한 사람은 거의 없었다.

윤 장관의 경우 G20 회의의 의장국 주무장관으로 회의를 마무리 지어야 할 책임이 막중하고, 진 위원장도 글로벌 금융규제의 틀을 논의하는 금융안정위원회(FSB) 총회에서 의견을 조율해온 만큼 유임에 무게가 실렸다.

이에 따라 관가에서는 G20 회의가 마무리된 뒤 내년 초쯤에나 윤 장관과 진 위원장, 김 원장 등에 대한 인사가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정동권 기자 danch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