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지대 전 이사장 복귀 추진… 교내 다시 혼란
입력 2010-08-06 18:14
사학비리로 물러난 김문기 전 상지대 이사장 측이 17년여 만에 재단 복귀를 추진하면서 옛 재단과 현 상지대 구성원 간 정면충돌 조짐을 보이고 있다.
상지대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6일 “사학분쟁조정위원회(사분위)가 9일 전체회의를 열고 직권으로 정이사를 선임하려 하고 있다”며 “김문기씨 측 인사가 선임될 경우 법적 대응과 물리적 저지로 맞설 것”이라고 밝혔다.
사분위는 지난 4월 상지대 정이사 9명 중 김 전 이사장(옛 재단) 측이 5명, 학교 구성원 측이 2명, 교과부가 2명을 추천하도록 결정하고 후보자 명단 제출을 요구했다.
옛 재단 측은 김 전 이사장을 포함해 5명의 정이사를 추천했지만 학교 측은 옛 재단에 정이사 추천권을 줘서는 안 된다고 반발하며 추천을 거부했다. 사분위는 양측에 5일까지 다시 명단 제출토록 요구했으나 모두 응하지 않았다.
사분위는 이에 따라 9일 전체 회의를 열고 2008년 1기 사분위 당시 양측이 제출한 이사 후보자 명단을 바탕으로 이사를 선임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2008년 옛 재단 측이 사분위에 제출한 정이사 후보 9명 중 4명이 김 전 이사장을 포함한 옛 재단의 이사들이라는 점이다. 이외에 나머지 5명도 김 전 이사장의 아들과 비서 등 측근이다. 상지대 비대위 대변인 심상용 교수는 “사분위가 비리를 저지른 김씨 측에 5명의 이사를 추천하도록 한 것은 명백한 잘못”이라며 “김씨 측 인사가 한 명이라도 이사진에 포함돼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상지대 비대위는 지난 5월부터 수업 및 기말고사를 전면 거부하는 등 옛 재단 복귀 반대투쟁을 벌여 왔다. 참여연대 등 73개 교육·시민단체들도 사분위 결정 철회와 임시이사 파견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사분위 관계자는 “9일에 이사를 선임한다고 단정적으로 말할 수 없고, 위원들이 충분히 논의해서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상지대는 지난 1993년 김 전 이사장이 사학비리로 구속된 후 임시이사 체제로 운영해 오다 2003년 정이사 체제로 전환했다. 그러나 2007년 대법원이 ‘임시이사들에 의한 정이사 선임은 위법’이라며 김 전 이사장의 손을 들어주면서 갈등이 다시 시작됐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