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주류의 반격… ‘진보개혁모임’ 결성 ‘쇄신연대’와 맞대응
입력 2010-08-06 00:19
비주류 공격에 침묵하던 민주당 주류가 반격에 나섰다. 정치 결사체도 만들기로 했다.
원혜영 백원우 의원과 이목희 전 의원은 5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9월 전당대회는 계파 간 당권싸움이 아니라 노선, 비전, 강령, 정책 등 가치 중심으로 치러져야 한다”며 가칭 ‘진보개혁모임’을 결성하겠다고 밝혔다. 노선 논쟁을 제안해 당권 경쟁에 집중하는 비주류 측 ‘민주희망쇄신연대’와 차별화한다는 전략이다.
진보개혁모임에는 김근태 전 열린우리당 의장과 김부겸 강기정 정범구 최재성 의원, 우상호 김민석 설훈 임종석 전 의원 등 주류 측 원내외 인사 33명이 참가한다. 진보개혁모임은 노선 논쟁에 동의하는 인사들을 더 규합할 계획이다.
이들은 성명에서 “(전대는) 지도부 2년의 성과와 한계, 문제점, 네 차례 선거 등에 대한 정확한 평가의 토대 위에서 진행돼야 한다”며 “근거 없는 비난, 인신공격 등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진보개혁모임은 성명 발표에 앞서 지난 2주 동안 3∼4차례 만나 전대에 대한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전해졌다. 진보개혁모임은 10일 국회에서 첫 워크숍을 열고 민주당 강령과 정책에 대한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27일에는 1박2일 토론회를 갖고 향후 활동 방향을 구체적으로 모색하기로 했다.
아울러 최고위원에 출마할 것으로 알려진 최재성 의원은 “집단지도체제는 대권 후보들의 피난처이자 정치생명의 연장선으로 지분 나눠먹기식으로 당이 운영될 것”이라며 현 단일지도체제 유지를 강하게 주장했다. 집단지도체제로 지도부를 선출할 경우 정세균 전 대표, 손학규 정동영 상임고문 등 ‘빅3’와 천정배 박주선 김효석 의원 등 다선 의원들이 대거 포진할 것을 우려한 것이다. 최 의원은 “집단지도체제는 젊은 정치인의 등용문을 좁게 해 세대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했다.
주류 측 ‘486세대’(40대·80년대 학번·60년대생)가 설 땅이 좁아질 수밖에 없다는 위기의식이 깔려 있다. 반면 ‘575세대’(50대·70년대 학번·50년대생)가 주축을 이룬 비주류의 쇄신연대는 11일 집단지도체제 도입을 공식화할 계획이다.
한편 손학규계인 전혜숙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현 전대 준비위원회는 정세균 전 대표 체제에서 구성된 것으로 공정성을 담보할 수 없다”며 준비위 재구성을 공개적으로 요구했다. 준비위가 정세균 정동영계 중심으로 구성됐다는 반발이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