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부 거취·전준위 인선싸고 팽팽… 민주는 全大 전 힘겨루기

입력 2010-08-04 18:33

전당대회를 앞둔 민주당 내에서 주류와 비주류 간 대립이 계속되고 있다. 비주류 측 요구가 일부 수용됐지만 지도부 거취와 전대 준비위원회(이하 전준위) 인선을 놓고서는 여전히 갈등이 진행 중이다.

비주류 핵심모임인 민주희망쇄신연대는 4일 이미경 사무총장의 사퇴를 요구하고 나섰다. 쇄신연대 노웅래 대변인은 “7·28 재·보선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고 지도부가 총사퇴한 결단을 높이 평가한다”면서도 “지도부 총사퇴란 지도부가 임명한 당직자의 공동 결단까지 포함한다”고 말했다. 주류 측 인사로 분류되는 이 사무총장에게 에둘러 사퇴 압력을 넣은 셈이다.

쇄신연대는 당 조직강화특별위원회도 비판했다. 노 대변인은 “조강위는 지역위원장 후보 심사와 추천 권한까지 가진 지도부 전횡의 상징”이라며 “전준위는 지역위원장 선출 등 관련 모든 규정을 재정비하고 조강특위의 위상을 조정하라”고 요구했다. 또 “총사퇴한 지도부는 전준위에 참여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전준위에 참여하고 있는 이 사무총장과 전병헌 정책위의장 등을 겨냥한 것이다.

주류 측은 ‘너무한 것 아니냐’는 반응이다. 주류 측 핵심 인사는 “그럴 바엔 차라리 쇄신연대에 당직자 임명권 다 주고, ‘쇄신당’으로 바꾸는 게 낫겠다”고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주류 측 다른 의원은 “선출된 지도부가 합법적으로 임명한 당직을 비대위가 좌지우지하는 건 옳지 않다”고 말했다. 중립 성향의 재선 의원은 “사무총장의 거취는 스스로 결정할 부분”이라며 “쇄신연대의 요구가 상당 부분 받아들여졌는데도 과도하게 요구하는 것 같다”고 했다.

전준위를 둘러싼 힘겨루기도 계속되고 있다. 손학규계로 분류되는 이춘석 의원 등은 박지원 비대위 대표를 만나 전준위 인선에서 배려를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주류 측 김민석 전 의원은 전대 규칙을 다루는 전준위 당헌·당규분과 위원장으로 배정됐으나 논란이 일자 사의를 표명했다.

한편 전준위는 다음달 18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전대를 열기로 했다. 민주당은 당초 국정감사 일정 등을 감안해 다음달 12일 전대를 열기로 했으나 장소를 구하지 못해 날짜를 변경했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