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이어 충남 “4대강 사업 찬성”
입력 2010-08-04 21:39
반대 입장서 선회… “문제 생기면 정부와 대안 협의”
충남과 충북이 4대강 살리기 사업 반대 입장에서 지지로 돌아섰다. 경남 역시 기존 반대입장을 접고 4대강 사업을 계속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해양부 4대강살리기 추진본부는 충남과 충북도가 4대강 살리기 사업을 정상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의견을 대전지방국토관리청에 회신해 왔다고 4일 밝혔다.
두 지자체는 회신 공문에서 “현재 사업이 모두 착공돼 정상적으로 추진되고 있다”면서 계속 추진할 뜻을 분명히 했다. 두 지자체는 다만 “기존 계획에 문제가 발견되면 대안을 마련하겠다”는 단서를 달았다.
국토부 고위 관계자는 이에 대해 “충남·북도가 4대강 사업의 정상 추진 의사를 밝힌 것은 사업의 필요성에 대한 주민과 지자체장간의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며 “사업 추진 과정에서 해당 지자체와 추가로 논의할 부분은 지속적으로 협의, 보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4대강 사업 추진 여부와 관련, 입장 표명을 늦춰달라고 요구한 경남도에 대해서는 “이르면 이달 말까지 답변을 보내올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지속적인 사업 추진에) 긍정적인 회신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경남도는 국토부에 회신 마감 시한(6일)을 연장해 달라고 요청한 상태로 5일 각계 전문가 20여명으로 구성된 낙동강사업특별위원회를 발족, 사업 전반을 다룬 뒤 최종 결정을 내릴 방침이다. 김두관 지사는 일단 특위와 여론 수렴 결과를 따른다는 방침이지만 반대 입장을 고수하기가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다.
국토부는 이달 말까지 전체 사업 공정률을 35%까지 끌어올리는 한편 내년 말까지 4대강 본류의 준설 및 보 설치, 하천 정비공사를 완료한다는 구상이다. 이어 2012년 12월까지 지류 정비 및 댐, 저수지 신·증설 공사까지 마칠 계획이다.
한편 민주당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4대강 사업의 기본 원칙 8가지와 금강살리기 사업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다.
당 4대강 사업저지특위는 강의 흐름 유지, 수질개선, 생태계 보전, 지류 관리, 연차적 사업 추진, 불필요한 사업 배제, 예비타당성과 환경영향평가 등 절차 준수, 사회적 합의 등을 원칙으로 제시했다. 특위는 또 강의 흐름을 인위적으로 차단하지 않고 준설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대안으로 내놨다. 제방 보강, 배수장 설치, 토지 보상 등을 실행하고 나머지를 중단하면 기존 총 사업비의 48.1%인 8245억원을 절약할 수 있다고 특위는 주장했다.
김도훈 강주화 기자, 부산=윤봉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