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소모적 4대강 논란 접을 때 됐다

입력 2010-08-04 21:25

세종시와 함께 국론분열의 진앙이었던 4대강 사업 논란이 새로운 전기를 맞았다. 그저께 이시종 충북지사가 “4대강 사업을 큰 틀에서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힌데 이어 어제는 충남도가 ‘정상 추진 의견’을 정부에 통보해 왔다.

야당 단체장들이 4대강 사업에 협조하겠다는 방향으로 종전과 다른 입장을 보인 것은 “반대하려면 사업 대행권을 반납하라”는 정부의 압박이 주효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4대강 반대가 지방선거의 주요 쟁점이었음을 감안할 때 야당 단체장들의 입장 선회는 주목할 만하다.

이 지사는 “충북은 대규모 보나 준설작업이 없기 때문”이라고 했지만 무엇이 지역 주민을 위한 것인지 심사숙고한 끝에 결정을 내렸을 것이다. 이 지사의 결심은 당략에 매달려 기존 입장을 되풀이해 온 중앙 정치권보다 훨씬 성숙해 보인다. 어제 민주당이 강의 흐름을 인위적으로 차단하지 않고 준설을 최소화하자고 요구한 ‘4+4원칙’ 대안은 현실을 정확히 반영하지는 못했지만 종전 주장에서 한발 물러선 것으로 풀이된다.

4대강 사업의 주축인 낙동강 구간을 낀 경남도의 김두관 지사는 도내 13개 시·군 단체장들이 지난달 4대강 사업 찬성 성명을 발표한 이유를 냉정하게 생각해봐야 한다. 김 지사는 “우리는 속도전을 안 하기 때문에 6일까지는 답변이 어렵다”며 통보시한 연기를 요청했다. 연기 요청이 시간 끌기 전략이 되어서는 안 된다.

치산치수는 현대에 와서도 국정의 기본이다. 20% 넘게 진행된 4대강 사업은 이제 와서 되돌릴 수도, 머뭇거릴 수도 없는 상황이다. 여야가 정쟁으로 소모전을 계속할 때가 아니다. 우리나라 경제가 잘 나간다고 하지만 작금의 대기업과 중소기업, 빈부의 양극화 논쟁에서 보듯 시급한 문제가 한둘이 아니다.

모처럼 형성된 변화 조짐을 무산시켜서는 안 된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감정대로 세상을 살 수는 없는 것 아니냐. 도지사로서 책임있는 자세로 이 문제를 풀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제는 정부와 단체장들이 더 이상의 논란을 접고 국익과 지역 이익의 공통분모를 찾기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한다. 홍수와 태풍이 닥쳐오는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