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대기업 상생대책… LG, 협력사 현금 결제 비중 확대

입력 2010-08-04 00:41


주요 대기업들이 중소기업과의 상생협력 강화 대책을 쏟아내고 있다. 최근 정부가 중소 협력사와의 상생에 소극적인 대기업 행태를 강하게 질타한 것에 대한 반응이다. 납품대금 현금결제 등 1차 협력사에 국한되어 온 지원과 혜택을 2, 3차 협력업체로 확대하는 방안이 공통된 내용이다.

LG그룹은 3일 주요 10개 계열사 상생협력 담당자들을 불러 ‘중소 협력업체 동반성장을 위한 상생협력회의’를 열었다. 회의에선 협력업체에 대한 현금결제 비중 확대, 투자 확대를 통한 협력사 매출 및 고용 증대 지원, 신사업 추진 시 협력사 참여 확대 등이 상생 방안으로 논의됐다.

LG그룹은 이날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세부안을 확정해 이르면 다음주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 다음달 중에는 새로운 상생 방안에 따라 협력사들과 공정거래 협약을 체결한다.

삼성그룹은 1차 협력사 범위를 확대하는 삼성전자 안을 토대로 그룹 차원의 종합적인 상생 대책을 마련해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다. 삼성전자의 1차 협력사가 되면 100% 현금 결제를 받을 수 있고 해당 업체의 대외 공신력도 높아진다. 삼성전자는 1차 협력사 확대뿐 아니라 2, 3차 협력사에 대한 현금 결제 확대, 원자재 가격 변동의 납품가 반영 등도 검토하고 있다.

현대·기아차그룹은 지난달 자동차업계 최초로 1·2차 협력사 간 상생 협의체를 구성했다. 1차 협력사들만 참석하던 ‘상생협력 세미나’ 참여 대상도 2차 협력사까지 확대해 폭넓은 상생 협력을 펼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특히 1차, 2차 협력업체 간 거래에 개입해 이 과정에서 불공정 거래가 발생하지 않는지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문제가 있을 경우 개선을 권고할 방침이다. 또 2, 3차 협력업체 운영자금을 위해 3000억원 규모의 상생대출 펀드도 조성하고 2차 협력사 지원 결과를 바탕으로 3차 협력사 지원방안도 지속적으로 모색할 방침이다.

포스코도 지난달 말 1차 협력업체에 국한된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활동을 2~4차 협력업체로 확대키로 했다. 포스코는 납품단가 조정은 물론 자금 지원, 연구개발 지원 등 다양한 협력업체 지원책을 구상 중이다. 우선 1차 협력 중소기업의 납품단가 조정이 이뤄질 경우 2~4차 협력업체에도 동일한 효과가 미칠 수 있도록 1차 협력기업의 계약 약관에 납품단가 조정 내용이 반영되도록 적극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또 협력사 자금난 해소를 위해 금융기관과 공동으로 3300억원 규모의 상생보증 프로그램을 조성하는 한편 2000억원 규모의 금융지원 펀드를 운용, 2~4차 협력 중소기업에 저리로 대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했다. 이밖에 SK그룹과 한화그룹 등도 조만간 그룹 차원에서 중소기업 상생협력방안을 내놓을 계획이다.

천지우 김도훈 기자 mog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