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철 전경련 부회장 “비즈니스 프렌들리 부담… MB, 대기업 때리는 듯”

입력 2010-07-30 19:19

정부가 대기업에 대해 중소기업과의 상생 노력을 주문하고 있는 가운데 경제단체들이 연일 볼멘소리를 쏟아내고 있다. 반면 정부는 중소기업 지원에 대한 대기업의 책임을 재차 강조하고 있다.

정병철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상근부회장은 29일 저녁 제주도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대기업을 왜 때리는지, 재계는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통령이 취임할 때부터 비즈니스 프렌들리를 강조했는데 비즈니스 프렌들리의 어원은 원래 마켓프렌들리다. 시장 친화적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대통령이 그것에 대한 부담을 갖고 있는 게 아닌가 싶다”고 밝혔다.

그는 ‘대통령이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한 발언을 다 봤느냐’는 질문에 “아직 안 봤다. 대통령 발언 전체를 모른다. 팩트를 보면 투자 갖고 언급하신 거 같은데 (대통령이) 어느 정도 사실을 파악하고 말씀하셨는지 궁금하다. 대통령한테 직접 문의할 수 없으니까 비서관 등을 통해 배경을 파악해봐야겠다”며 “기업들의 투자가 부족한 것은 아니다. 600대 기업 상반기 투자 통계가 아직 안 나왔는데 나오면 보고를 드릴 것”이라고 말했다.

정 부회장은 또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은 한국기업처럼 많이 하는 데가 없다. 선진 외국은 개인이 많이 기부하지만 우리는 기업이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친서민 정책은 정부가 정말 도와주지 않으면 못사는 사람들에 대해서 해야 한다”며 “그런 게 복지 정책이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다만 그는 정부의 역할을 지적한 전경련 제주 하계포럼 개회사에 대해서는 “진의가 잘못 전달돼 오해를 불러일으킨 것 같다”고 해명했다. 정 부회장은 “개회사에서 언급한 4대강, 세종시, 천안함 문제는 정부의 ‘대기업 압박’과 전혀 관계가 없다”며 “전경련은 그간 우리나라의 주요 현안에 대해 꾸준히 언급해 왔다”고 말했다. 그는 또 “언론에 (개회사의) 전체 맥락이 보도되지 않고 일부 문장만 전해지면서 그런 오해가 생겼다”고 주장했다.

한편 오영호 한국무역협회 부회장도 29일 기자들과 만나 “대기업을 공정거래위원회와 국세청에서 압박하는 방식으로는 절대 상생협력이 안 된다”며 “그런 식으로 하면 당장은 대기업이 말 듣는 시늉은 할지 모르지만, 절대 제대로 된 협력 관계는 이뤄질 수 없다”고 지적했다.

오 부회장은 또 “제대로 된 상생협력은 자발적으로 이뤄져야 하고, 정부의 압박은 어디까지나 보조적 수단이 돼야 한다”며 “그런데 지금 그 비율이 거꾸로 가는 것 같아 상당히 우려스럽다”고 덧붙였다.

이용웅 선임기자 yw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