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앙회 ‘공정거래 촉구’ 기자회견 돌연 취소… 中企들 “대기업 눈치보기”
입력 2010-07-30 18:22
중소기업중앙회는 30일 오전 예정됐던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을 위한 상생협력 및 공정거래 질서 정착 촉구’ 기자회견을 당일 갑자기 취소했다. 중소기업 현장에서는 이를 ‘대기업 눈치보기’라며 비판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다.
당초 중기회는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대·중소기업 간 불공정거래 관행 개선을 호소하고 정부의 대책마련, 대기업의 태도 변화를 촉구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예정된 시간을 2시간 30분 앞두고 ‘오늘 예정된 기자회견은 다음으로 연기됐다“라는 공지성 메일이 출입기자들에게 전달됐다.
최근 ‘사회 양극화 대기업 책임론’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돌연 기자회견을 취소한 것을 두고 ‘눈치보기’ 아니냐는 비판이 나왔다. 중기회 측은 “대기업과는 어찌됐든 상생을 할 수밖에 없는데 민감한 시점에 중소기업계가 대기업을 같이 비판하고 나서는 게 모양새가 좋지 않은 것 같다”며 “자칫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갈등으로 내비칠 수 있어 기자회견을 취소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러나 중소기업 현장에선 모처럼 중소기업의 어려운 상황을 대변할 수 있는 기회였는데 중기회 지도부가 몸을 사려 아쉽다는 반응을 보였다. 부품 소재 업체 관계자는 “여론의 관심이 높을 때 중소기업계가 처한 상황을 알리고 개선책을 마련해야 하는데 중앙회 임원진이 대기업 눈치를 보는 것 같아 씁쓸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중기회 지도부가 스스로 권력화된 나머지 중소기업을 위하기보다 자리보전에 급급하는게 아니냐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지도부가 책임지고 사퇴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다.
한편 중소기업 문제에 대해 중기회보다는 정부가 더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최경환 지식경제부장관은 이날 중소기업의 납품 단가를 인하할 때 입증 책임을 대기업에 부여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최 장관은 이날 한 라디오 방송 프로에 출연, 정부가 준비 중인 중소기업 대책에 대해 “납품단가 협의제가 유명무실하기 때문에 조합 등 제3자에 의한 신청제도를 도입한다든지, 단가를 인하할 때 입증 책임을 대기업에 부여한다든지, 불공정 거래행위에 대한 상시적 신고 시스템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최 장관은 또 “지금까지 (대-중소기업 간) 동반성장 프로그램이 1차 협력업체를 상대로 했다”면서 “동반성장 프로그램을 2, 3차 업체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박재찬 권지혜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