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상 최대 실적 ‘나홀로 잔치’ 안 돼야
입력 2010-07-30 17:52
정부 각 부처가 중소기업과의 상생에 대기업을 압박하고 나서자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반발하면서 정부와 재계 간에 냉기류가 돌았다. 그러나 이명박 대통령이 “강제 상생은 의미가 없다”며 자발적 협력을 강조하고, 전경련 역시 최근 정부를 비판한 듯한 발언의 진의가 잘못 전달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것으로 정·재계 갈등이 조기에 수습된다면 다행이다. 정부와 재계가 힘을 모아도 부족할 판에 대립하는 것은 누구에게도 도움이 안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소기업과의 상생 문제를 둘러싼 정부와 대기업 간의 시각차는 여전한 것 같다. 이 대통령은 전경련에 대해 “대기업 이익만 옹호하려는 자세는 곤란하며 사회적 책임도 함께 염두에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정병철 전경련 상근부회장은 “한국 기업만큼 사회적 책임 활동을 많이 하는 나라는 거의 없다”고 주장했다. 이런 시각차가 좁혀지지 않는 한 정부와 재계의 갈등은 해소되기 어렵다.
어제 그제 연일 주요 대기업들이 올 상반기 사상 최대 실적을 발표했다. 글로벌 경제 위기에 선진국의 내로라하는 기업들도 흔들리는 판에 국내 대기업들이 수천억원 내지 수조원씩 영업이익을 냈으니 칭찬받아 마땅하다.
그러나 대기업들과 달리 중소기업들은 여전히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다. 지식경제부 조사에 따르면 국내 중소기업의 49.7%는 작년보다 경영이 나아진 게 없다고 한다. 중소기업들은 경기 회복의 가장 큰 걸림돌로 납품 단가 등 하도급 거래상의 문제를 꼽고 있다. 대기업들의 성과가 납품 단가 후려치기 등 하도급 착취에서 나온 것이라면 박수를 받을 수 있겠는가.
다음달부터 전기 도시가스 시외버스 등 공공요금이 줄줄이 인상된다고 한다. 전체 고용의 88%를 차지하는 중소기업 근로자들로서는 생활비 부담이 늘어나는 소식에 가슴이 더 답답할 것이다. 납품 단가 등 하도급 문제는 정부의 규제와 관리도 필요하지만 대기업 스스로의 노력, 특히 기업 총수들의 인식 변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중소기업들도 대기업과 함께 축배를 들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