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 재보선 이후] ‘패배 책임’ 후폭풍 휩싸인 민주당
입력 2010-07-29 18:45
민주당이 7·28 재·보궐 선거 패배의 후폭풍에 휩싸였다. 특히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권 경쟁과 맞물려 주류-비주류 간 내홍으로 비화할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천정배 김영진 문학진 의원 등 비주류 의원 모임인 ‘쇄신연대’는 29일 오전 여의도에서 긴급 조찬 회동을 가진 뒤 성명을 내고 “지도부가 책임 있는 결단을 내릴 것인지 지켜볼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정세균 대표를 비롯한 현 지도부의 즉각 사퇴와 임시 지도부 구성을 요구했다. 쇄신연대 핵심 관계자는 “재·보선 결과에 책임지지 않고 시간을 끄는 것은 비겁하다”고 공격했다. 비주류 연합체인 ‘민주연대’도 이날 회동에서 선거운동 기간 민주노동당을 ‘한나라당 2중대’로 폄하한 주류 측 의원에 대해 성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류 측은 당혹해하면서도 추이를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정 대표는 이날 공식 일정을 잡지 않고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주류 측 핵심 의원은 “쇄신연대가 ‘웬 떡이냐’라는 표정으로 사퇴를 촉구하고 나선 것은 정치적 도의에 어긋나는 것”이라며 “정 대표는 당 안팎의 여러 의견을 들어 거취를 결정할 것”이라고 전했다.
선거 패배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도 이어졌다. 박지원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고위정책회의에서 침통한 표정으로 “안일한 공천에도 큰 책임이 있다”며 “지도부의 일원으로서 이번 결과에 큰 책임을 느끼고 국민 여러분에게 죄송하다”고 말했다. 박주선 최고위원은 “지방선거 후 ‘자만의 덫’에 빠져 변화와 혁신을 포기했다”고 밝혔다. 다만 유력한 당권 주자 중 한 명인 손학규 상임고문은 선거 결과에 대해 별다른 의견을 밝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주류와 비주류 간 힘겨루기는 전당대회 준비위원회 인선 등을 놓고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비주류 측은 “준비위 구성이 현 지도부 측에 유리하게 돼 있다”며 재구성을 요구하고 있는 상태다. 전대 준비위가 가동되면 순수 집단지도체제와 전 당원 투표제 등 당헌당규 개정이 우선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또 다음달 3일로 예정된 긴급 의원총회에서도 재·보선 평가를 놓고 주류-비주류 간 공방이 예상된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