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총리 사임] 후임 총리 인선은… ‘민생·복지형’ 총리론에 무게
입력 2010-07-29 21:42
정운찬 총리가 29일 사의를 공식 표명함에 따라, 후임 총리 인선이 정국의 핵심으로 떠올랐다. 이명박 대통령은 현재 후임 총리 인선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후임 총리를 어떤 성격으로 갖고 가느냐가 최대 관심사다.
청와대 내부에서는 ‘민생·복지형’ 총리론이 부각되는 분위기다. 청와대 관계자는 “다음 대선은 결국 복지와 민생 문제가 최대 현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이를 고려하면 민생 복지 쪽에 무게를 두는 인선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는 공개적으로 ‘정치형 총리’를 요청했고, 임태희 대통령실장 등 청와대 참모들이 젊은 실무형으로 짜여지면서 ‘경륜형 총리’도 부각됐다. 하지만 7·28 재·보선 승리로 민생형 총리로 무게중심이 이동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음 대선까지를 염두에 둔 포석이라는 분석도 가능하다. 이는 이 대통령이 집권 후반기 국정운영 어젠다로 선택한 친(親)서민 노선과도 맥이 닿아 있다. 청와대 내부에서는 현재의 친서민 노선을 더욱 강력하게 밀어붙여야 한다는 의견들이 힘을 얻어가고 있다.
대기업과의 마찰이나 포퓰리즘 논란도 감수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친서민 노선은 이명박 정부가 위기 때마다 꺼내들 수 있는 유일한 탈출구였다. 지난해 중반 20∼30%대에 머물렀던 이 대통령의 지지율은 친서민 중도실용 노선에 힘입어 한때 50%까지 치솟았다. 하지만 천안함 사태와 세종시 수정안 불발, 4대강 밀어붙이기 등으로 이러한 효과가 반감됐다. 6·2 지방선거 패배로 다시 꺼내든 친서민 노선은 여당의 7·28 재·보선 압승에 상당부분 기여했다는 평가다.
문제는 이러한 민생·복지형 콘셉트에 적합한 인물 찾기다. 청와대는 기존에 알려진 인물보다는 신선함을 줄 수 있는 인사들을 대상으로 검증을 진행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왕이면 50대 후반의 ‘젊은 총리’를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으나, 인물난에 시달리고 있다는 후문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총리 후보군이 아직 구체적으로 압축되지는 않았다”며 “이 대통령이 8월초 휴가 기간을 통해 최종 결심을 하지 않겠느냐”고 전망했다.
부처는 일단 대폭 개각이 불가피하다. 총리가 교체되는 만큼 새로운 진용으로 집권 후반기를 시작해야 한다는 논리가 강한 상태다. 장관 교체 대상 부처로는 교육과학기술부, 농림수산식품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고용노동부, 국토해양부, 문화체육관광부 등이 꼽힌다.
국방부 통일부 등 외교안보 부처 일부도 교체될 가능성이 있다. 관심은 친박계 의원의 추가 입성 여부다. 현재 친박계인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은 유임 가능성이 높다.
이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의 회동이 8월중 이뤄질 경우, 화합 차원에서 친박계 의원의 장관 추가 입성이 가능할 수도 있다. 물론 친이계 의원들과의 형평성 문제도 제기되고 있어 정치적 조율이 필요한 대목이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