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차기 총리, 국민 화합형 인사를

입력 2010-07-29 18:09

정운찬 국무총리가 어제 사퇴 의사를 공개적으로 표명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이를 수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총리는 여당의 6·2 지방선거 패배 후 세 차례나 사의를 표했으나 이 대통령이 ‘퇴진을 하더라도 명예롭게 해야 한다’며 만류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정 총리는 7·28 재·보선 승리 직후를 퇴진의 적기로 판단한 것 같다.

정 총리 사퇴에는 사실 아쉬운 점이 있다. 그는 저명한 경제학자여서 당연히 ‘경제총리’가 돼야 하는데도 지난 10개월 동안 세종시 문제에 파묻히다 보니 ‘정치총리’에 가까웠다. 자신의 경제학적 식견을 국정에 반영할 기회를 거의 갖지 못했다. 재·보선 승리를 계기로 이제 경제총리로서의 입지를 굳힐 수도 있을 텐데 이 대통령의 인적쇄신에 걸림돌이 되지 않겠다는 생각에 결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어쨌거나 이 대통령으로서는 임기 후반기 국정을 함께 이끌고 나갈 새 총리를 물색해야 할 시점이다. 국정 공백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점에서 인선은 빠를수록 좋다. 벌써 이런저런 인사들이 하마평에 오르고 있지만 이번에는 경륜과 덕망을 갖춘 국민 화합형을 선택했으면 좋겠다. 이념과 세대, 계층, 지역 간 갈등이 만연한 시점에서 사회통합을 도모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부분에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인사를 기용함으로써 사회통합, 국민통합을 이뤄나가야겠다. 통합을 이뤄내지 못할 경우 이 대통령의 후반기 국정 수행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음을 명심하기 바란다.

총리를 바꾸기로 한 이상 장관들을 다수 교체함으로써 내각의 분위기를 일신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널리 인재를 구하는 일이다. 대선 때 지근거리에서 대통령을 도왔던 사람들에게 보은 인사를 해서는 국민들로부터 외면받기 십상이다. 그런 인사는 정권 출범 때 한 번으로 끝내야 한다. 비록 대선 때 반대편에 섰던 사람이라도 나랏일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될 경우 과감하게 등용하면 국민들이 박수를 칠 것으로 본다. 당정 간 소통을 강화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여당 국회의원들을 많이 등용할 경우 쇄신과는 거리가 먼 개각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