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분노… ‘리비아 한국 외교관 추방 사태’ 구 선교사 희생양 삼아 축소·은폐 기도
입력 2010-07-28 18:38
한국 기독교계가 리비아 정부의 구모 선교사 억류와 한국 외교관 추방 등으로 요약되는 이른바 ‘리비아 사태’를 처리하는 우리 정부의 행태, 일부 언론 보도 태도에 분노하고 있다. 외교통상부가 구 선교사 구속을 활용해 주 리비아 대사관 관계자의 스파이 혐의에 따른 추방 사건을 축소 은폐하려 했고, 언론 또한 사실규명보다는 포퓰리즘(대중영합주의) 보도에 집착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특히 몇몇 기독교 단체에서는 사건의 본말을 왜곡하는 일부 언론 보도가 기독교를 비난하는 빌미를 제공했기 때문에 무분별한 언론 보도 관행을 바꾸도록 압력을 행사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아울러 이번 기회에 자국민 보호를 망각한 정부의 사과와 상응한 처벌, 재발 방지 약속 등을 적극 요구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한국기독교총연합회 이광선 대표회장은 “과거부터 과도한 특종 경쟁이 우리 국민들의 해외 활동을 어렵게 해 온 게 사실”이라며 “한국교회는 정부의 처리 과정 및 언론 보도를 예의주시할 뿐 아니라 관계기관에 합당한 조치를 강구하라고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세계선교협의회(KWMA)는 자국민을 보호해야 할 직무를 유기하고 고발성 발언까지 한 주 리비아 대사관 관계자 처벌을 요구하고 나섰다. 조만간 언론중재위원회에도 제소할 방침이다. KWMA는 “해외 거주 교민에게 부모, 변호사와 같은 대사관이 법정에서 재판이 진행되지도 않은 자국민에 대해 ‘신분이 목사이고, 선교 활동을 했다. 불법이고 구속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밝힌 건 있을 수 없는 처사”라고 비판했다.
한국교회언론회도 “리비아 정부에 대한 과도한 정보수집 활동이 이번 사건의 발단이라고 적시한 27일자 ‘미디어오늘’ 보도가 사실이라면 외교통상부는 책임을 재외국민에게 전가하려 했다는 비난을 면키 어렵다”고 주장했다.
언론회는 “확인되지 않은 보도로 인해 인터넷과 포털에서 기독교를 비난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며 이는 허위 보도의 대표적 사례라고 평가했다. 이어 “리비아 정부에 억류된 구 선교사는 정부 첩보 활동의 희생양이며, MBC 등의 오보에 의한 피해자”라면서 “MBC는 한국교회에 사과하고 정정보도를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함태경 기자 zhuanji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