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 7·28 재보선] ‘미니 총선’ 결산… 여론조사 없는 선거 핵심 정책·비전 실종
입력 2010-07-28 21:38
7·28 재·보궐 선거가 마무리됐다. 이번 선거는 6·2 지방선거가 끝난 지 2개월도 채 안돼 치러졌지만, 지방선거 때와는 확연히 다른 양상으로 진행됐다.
우선 지방선거 핫이슈였던 무상급식과 같은 선거를 관통하는 핵심 정책 쟁점이 없었다. 민주당을 비롯한 야당이 4대강 이슈를 띄우려고 했지만 선거가 치러진 8개 지역구 대부분이 4대강 사업과 관련이 적은 곳이어서 지역 표심을 크게 자극하지는 못했다. 선거 막판 터진 한나라당 강용석 의원 ‘성희롱 파문’ 등 돌발 변수를 놓고도 여야가 중앙당 차원의 기싸움만 펼쳤을 뿐이다.
영남을 제외한 전국 8곳에서 선거가 실시되며 ‘미니 총선’으로 불렸지만 지역별로 후보들의 정책 및 비전 대결 양상은 벌어지지 않았다. 특히 이재오 전 국민권익위원장 등 일부 후보를 제외한 여야 후보들의 인지도가 떨어지며 일부 지역에서는 선거운동 기간 내내 유권자들의 무관심으로 선거 분위기가 뜨지 않는 현상도 계속됐다.
선거 때마다 홍수를 이뤘던 여론조사가 자취를 감춘 점도 특징 중 하나다. 언론사 등이 여론조사를 기피한 것은 지방선거를 앞두고 실시한 대다수 여론조사가 서울과 일부 접전 지역 개표 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며 정확성 논란을 빚었던 탓이다. 하지만 여론조사 실종으로 판세가 알려지지 않자 여야 모두 대부분 선거구를 ‘경합지’라고 주장하는 일도 벌어졌다.
이번 선거에선 여야 지도부의 움직임도 극과 극이었다. 13일간의 공식 선거운동 기간 민주당 정세균 대표가 최대 승부처인 은평을을 8번이나 찾아 지원유세를 벌이는 등 8개 선거구에서 강행군을 벌인 반면 한나라당 안상수 신임 대표는 은평을과 인천 계양을 지역은 한번도 찾지 않았다. 전당대회를 이미 치른 지도부와 전대를 앞둔 지도부의 차이라는 지적도 있지만, 정권심판론에 맞서 지역일꾼론을 내세운 한나라당 후보들이 중앙당의 지원을 거부한 탓이 더 크다.
그러나 공천 잡음, 상호 비방전 등 혼탁상은 여전했다. 선거 운동기간 여야는 한나라당 이재오 후보의 육성을 녹음한 자동전화안내의 선거법 위반 여부를 놓고 공방을 벌였고, 박근혜를 사랑하는 모임(박사모)의 선거법 위반 문제도 논란거리였다.
선거일인 28일에도 여야는 금품 살포 의혹을 놓고 충돌했다. 민주당이 강원 태백·영월·평창·정선의 한나라당 염동열 후보 회계 책임자가 자원봉사자들에게 금품을 전달하다가 선관위 직원에게 적발됐다고 주장했다. 이에 원희룡 한나라당 사무총장은 “해당 선거사무소와 회계책임자에게 물어본 결과 그런 사실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며 “사실이 아닐 경우 금품살포를 주장한 민주당도 엄중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밝혔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