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참모들 MB에 ‘코드 맞추기’… 성장주도 최중경 수석 등 ‘친서민’ U턴

입력 2010-07-29 00:33

이명박 대통령이 친(親)서민 정책을 후반기 국정운영 최우선 어젠다로 설정하면서, 청와대 경제 참모들의 역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공교롭게도 ‘서민’을 기치로 한 3기 청와대 경제팀은 ‘성장’을 기치로 내걸었던 1기 경제팀과 인적 구성이 비슷하다.

최중경 경제수석은 이명박 정부 1기 경제팀의 공과(功過)를 모두 안고 있는 인물이다. 최 수석은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 시절 1차관을 지내다가 고환율 정책과 물가불안 등에 대한 책임을 지고 6개월 만에 물러났었다. 고환율 정책은 수출을 주력으로 하는 대기업에 유리한 정책으로 평가됐으며, 실제로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대기업들은 막대한 수출 이익을 얻었다. 임태희 대통령실장은 18대 국회 구성 직후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을 맡아 ‘747’을 표어로 하는 MB노믹스 추진에 깊숙이 관여했다.

정부 내에도 1기 경제팀이었던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이 그대로 있고,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 역시 임태희 정책위의장 시절 정책위 수석부의장을 맡아 비상경제대책회의 멤버로 참여했다. 물가와 금리 정책을 책임지고 있는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도 청와대 경제수석을 지냈으며, 강 전 장관도 현재 대통령 직속 국가경쟁력강화위원장을 맡아 경제정책 전반을 이 대통령에게 조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결국 사람들의 면면은 그대로인데, 정책 방향은 전환된 셈이다.

물론 집권 초와 중반기는 상황이 달라졌다는 설명이 가능하다. 청와대 관계자는 28일 “이 대통령의 (친서민 정책) 의지가 워낙 강하다”며 “참모들이 이에 맞추는 것은 당연하지 않느냐”고 말했다.

최 수석은 지난 4월 청와대 정책소식지 ‘안녕하십니까 청와대입니다’를 통해 “보금자리 주택 공급으로 민간 분양시장이 위축될 것이라는 (건설업계의) 지적은 지나친 우려다. 저렴한 보금자리 주택 공급 확대 등으로 주택가격이 안정되는 효과가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임 실장 역시 정책위의장 때 유류세 환급, 보금자리 주택 공급 등 친서민 정책 결정에 관여했으며, 현 정부 초대 공정거래위원장을 역임한 백용호 정책실장은 3기 청와대 참모진에서 친서민 정책 추진의 핵심 키를 쥐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경제개혁연대 소장인 한성대 김상조 교수는 “대기업을 지원하면 효과가 퍼질 것으로 예상했는데, 그렇지 못하자 중소기업 쪽으로 방향을 튼 것이라고 볼 수 있다”며 “이 대통령 본인도 그렇지만 핵심 경제 참모들 모두 매우 실용적이고 유연하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