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보선 D-1] 與 “계파 없애자” 합의했지만… 실제 해체까진 험로

입력 2010-07-26 18:35

한나라당의 계파 모임 해체가 실현될 것인가. 한나라당 최고위원들이 26일 친이명박계, 친박근혜계 등 당내 계파 모임 해체를 권고키로 의견을 모으면서 뿌리 깊은 계파 갈등이 해소될지 주목된다.

조해진 대변인은 최고위원회의 비공개 회의 직후 브리핑에서 “친이, 친박 등 계파로 나뉘어 있었는데 이 상태로는 정권 재창출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계파를 해체할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고 밝혔다. 조 대변인은 “가급적 의원 모임은 정책 중심으로 하고, 친이 친박 의원들이 함께 모임을 갖는 게 바람직하다”며 “28일 안상수 대표가 참석한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확정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2007년 대선 경선 때 이명박 후보와 박근혜 후보 캠프로 갈려 치열하게 싸운 이후 양대 진영은 사사건건 대립하며 반목을 거듭해 왔다. 당내 문제가 생길 때마다 계파 갈등을 해소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지만 그때뿐이었다. 하지만 지난 6·2 지방선거 패배를 계기로 당내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분위기가 달라지기 시작했다. 이길 수 있는 선거였음에도 계파 갈등 때문에 졌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지긋지긋한 계파 싸움을 끝내자는 목소리에 힘이 실린 것이다.

특히 지난 ‘7·14 전당대회’ 출마 후보들의 일성도 하나같이 당내 화합이었다. 그런 와중에 당내 계파 모임에서 자유로운 홍준표 최고위원이 이 문제를 강력히 제기하면서 당 최고위원들이 원칙적인 수준이나마 결단을 내리게 된 것이다.

하지만 계파 모임 해체가 현실화되기까지는 갈 길이 멀다. 당내에선 친이계 ‘함께 내일로’와 ‘국민통합포럼’, 친박계 ‘여의포럼’과 ‘선진사회 연구포럼’, 중도개혁 성향 의원 모임 등 각종 모임이 활동 중이다. 이 가운데 어떤 모임이 해체 대상인지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일부 모임은 계파 의원들이 모였지만 정책이나 입법 연구 모임이라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이 지도부의 해체 권고에 얼마나 따라줄지 불투명하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계파 모임을 해체하더라도 그것이 과연 계파 정치 해소로 연결되겠느냐는 회의론이 팽배해 있는 것도 문제다. 한 의원은 “계파가 엄연히 존재하는데 모임을 해체한다고 있는 계파가 사라지겠느냐”고 말했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