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보선 D-2] 성희롱·사찰파문 미풍 ‘재보선=與무덤’ 징크스 깨질까

입력 2010-07-25 21:33

7·28 재·보궐 선거가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전국 8곳에서 치러지는 이번 재·보선은 일반적인 선거 판세와는 전혀 다르게 돌아가고 있다. 여당은 연일 악재가 쏟아지는데도 선전하고 있고, 야당은 호재를 상승세로 연결시키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선거전 포인트를 짚어본다.

◇‘재·보선 패배’ 여당 징크스는 옛날 얘기?=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치러진 국회의원 재·보선에서 여당은 부진했다. 지난해 4·29 재·보선에서 한나라당은 한 곳도 건지지 못하며 완패했고, 이어진 10·28 재·보선에서도 2곳을 차지했지만 민주당에 수도권과 충북 3곳을 모두 내주면서 패했다.

이번 재·보선 8곳 중 원래 한나라당 몫은 원주 1곳뿐이다. 한나라당 관계자들은 하나같이 “2곳 이상만 이겨도 승리”라며 말을 아끼고 있지만 내심 3∼4곳에서의 승리를 기대하고 있다. ‘재·보선은 여당의 무덤’이라는 징크스를 깰 기회인 셈이다.

25일 현재 각 당의 판세 분석으로 미뤄보면 한나라당은 서울 은평을과 충북 충주, 강원 철원·화천·인제·양구 등 3곳에서 앞서 있다. 민주당은 인천 계양을과 광주 남구, 강원 원주와 태백·영월·평창·정선을 우세 또는 백중우세로 꼽고 있다. 충남 천안을은 예측이 어려울 정도의 접전 지역으로 분류된다.

◇악재는 변수가 아니다?=선거운동 기간 도중 터져 나온 한나라당 강용석 의원의 성희롱 발언 파문이나 여권 정치인에 대한 사찰 문제는 여당엔 대형 악재가 아닐 수 없다. 민심의 판도를 뒤흔들 만한 사안이었지만 지금까진 선거 판세에 미치는 영향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중앙정치 이슈보다는 지역의 이해관계가 더 유권자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나라당은 줄곧 지역 일꾼론을 내세우며 중앙 정치권의 이슈들을 차단한 전략이 현재까진 성공적이라고 자평하고 있다.

한나라당으로선 야권 단일화가 마지막 악재다. 우세 지역으로 꼽히는 서울 은평을과 충북 충주에서의 야권 단일화가 얼마나 표심을 자극할 수 있느냐가 마지막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정권 심판론 vs 야권 심판론=민주당은 선거운동 초반부터 4대강 사업을 지적하며 이번 재·보선이 정권 심판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후에도 여당의 악재가 더해지면서 정권 심판론은 힘을 받을 것으로 예상됐지만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중량감 있고 지역에 밀접한 인사를 공천한 한나라당에 비해 민주당은 공천 과정에서부터 내홍을 겪으며 비판받는 처지가 됐다. 한나라당의 한 중진 의원은 25일 “민주당이 젊고 참신한 후보를 내세웠다면 (여러 악재 속에서) 한나라당이 선전하기는 힘들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이 바람을 일으킬 수 있는 기회를 스스로 걷어찼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투표율 변수는(?)=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번 재·보선 투표율이 25% 내외에 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유권자들의 관심이 예상보다 낮은 데다 투표일이 휴가철과 겹쳐 높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선관위 예상대로 투표율이 25% 내외에 그친다면 조직력에서 앞선 후보가 유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 선거구를 관통하는 대형 이슈가 없었던 만큼 막판 표심이 크게 흔들릴 가능성도 크지 않다. 각 당의 우·열세가 비교적 뚜렷한 지역의 경우 그대로 결과가 나올 확률이 높다는 얘기다.

정승훈 강주화 기자 s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