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안보리 결의 완전·투명한 이행을” ARF 참석 클린턴 美국무 강조
입력 2010-07-23 21:27
베트남에서 열린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 참석한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은 23일 하노이 국립컨벤션센터(NCC)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북한이 국제사회의 의무를 이행하도록 압박해야 한다”고 밝혔다. 클린턴 장관은 “북한의 위협은 계속되고 있다”며 “ARF 참가국 대표들에게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874호의 완전하고 투명한 이행을 촉구했다”고 말했다. 클린턴 장관은 그러나 “북한에 대한 문은 항상 열려 있고, 얼마든지 북한 주민들을 도울 용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한 거래는 중국 중앙은행의 경우라도 중국 입장에서 어떻게 할 수 없을 것”이라며 “무기 확산 우려로 여행금지 대상에 오르는 북한 인물들은 미국 관보에 게재되고, 금융제재의 경우 포괄적인 형식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은 23일 홍콩 정부가 북한 국가개발은행의 대외경제협력기관인 ‘조선대풍투자그룹’의 외자유치 활동에 위법 행위가 있는지 확인하겠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또 2006년 영국계 투자회사가 북한의 광물자원을 개발하기 위해 만든 조선개발투자펀드의 불법성도 면밀히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홍콩 정부는 2006년 북한의 핵실험 이후 채택된 유엔 결의 1718호와 지난해 2차 핵실험 이후 마련된 1874호를 이행하기 위한 특별규정을 두고 있다. 홍콩특별행정구 상업·경제개발부 대변인은 “이들 회사의 투자 유치에 위법 행위가 있으면 법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이미 관련 정보가 홍콩의 법 집행 기관에 넘겨진 상태”라고 말했다.
미국의소리(VOA) 방송은 유엔 안보리 산하 ‘1718위원회(대북제재위원회)’의 보고서를 인용해 북한이 12개국 은행 17곳에 모두 37개 계좌를 열어 놓고 있다고 보도했다. 국가별로는 중국계 은행에 17개가 개설됐고, 러시아 스위스 덴마크 헝가리 폴란드 이탈리아 독일 벨라루스 말레이시아 카자흐스탄 등에도 계좌가 있다.
미국은 북한의 무기 수출 대금을 예치해 온 해외은행 계좌와 불법 거래 의심계좌 등 200개 정도의 북한 계좌를 찾아냈으며, 그 가운데 100여개 계좌를 정밀 추적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은 조만간 이들 계좌의 적법성을 가려 금융거래 중단 조치에 나설 전망이다.
하노이=이도경 기자, 베이징=오종석 특파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