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기자-임성수] 곽노현 교육감의 ‘진보 편식’
입력 2010-07-23 18:25
곽노현 서울시교육감이 ‘진보 교육감’의 면모를 뚜렷하게 드러내고 있다. 시교육청은 곽 교육감이 선거 공약으로 내세웠던 정책을 속전속결로 추진 중이다.
대표적인 것이 인사위원회와 징계위원회 개편이다. 지난 21일 시교육청은 교원인사위와 일반직인사위를 외부 인사로 대거 물갈이했다. 교원인사위는 신임 위원 7명 중 6명을 진보 성향 인사로 채웠다. 일반직인사위도 신임 위원 3명 모두 진보 인사로 위촉했다. 징계위도 외부 인사를 6명으로 늘리며 새 위원 4명을 위촉했다. 체벌 전면 금지는 ‘전격적으로’ 발표된 뒤 태스크포스를 구성했다.
이 같은 변화는 곽 교육감이 ‘행복한 교육혁명’이라고 이름붙인 공약의 실천이다. 곽 교육감 측은 진보적 공약으로 당선됐으니 진보 정책을 추진하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한 측근은 진보 편중이라는 지적에 “공정택 전 교육감 시절엔 진보 정책이나 인사가 있었느냐”고 반문했다.
문제는 보수 진영의 협조 없이는 어떤 개혁도 성공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야심차게 시작된 수많은 개혁이 반대파를 설득하지 못해 지리멸렬하게 끝난 사례는 수없이 많다.
보수 진영은 곽 교육감의 인사위 구성을 ‘코드인사’라고 비판한다. 체벌 금지는 ‘교권침해’라고 반발한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거의 매일 반발 논평을 쏟아낸다. 이 같은 반대 여론을 외면한다면 소모적 논란은 계속될 것이다. 피해는 고스란히 학생과 학부모에게 돌아간다.
곽 교육감은 최근 “작은 개혁이라도 필요한 것을 하다 보면 개혁 친화적 환경이 된다”고 말했다. 개혁에 친화적이지 않은 현 상황을 극복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한 표현이다.
그러나 개혁 친화적 환경은 의지만으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반대 여론을 설득하고 끌어안아야만 가능하다. 곽 교육감은 약속대로 ‘진보와 보수를 아우르는 교육감’이 돼야 한다.
임성수 사회부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