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DTI 무관 담보대출 최대한 자제”

입력 2010-07-22 18:44

은행들은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논의와 상관없이 하반기에도 부동산 대출 영업을 최대한 자제할 방침이다. 현재 가계 대출 수준도 과도하다고 보는데다 혹여 대출규제 완화가 될 경우 늘어날 수 있는 투기성 자금 대출이 은행의 중장기 수익구조에 리스크만 높일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우리은행 강원 주택금융사업단장은 22일 “부동산을 사고팔면서 자연스럽게 대출이 일어나는 선순환구조가 만들어져야 하는데 (부동산 시장은 얼어붙은 상황에서) 일부 규제가 완화된다고 해도 특별히 달라질 것이 없다”면서 “오히려 규제 완화로 인한 (투기성) 대출은 은행에게 더 안 좋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은행들은 주택담보대출이 여전히 증가세이긴 하지만 대부분 아파트 잔금 대출이며 그나마도 상승 폭이 둔화되고 있다고 본다. 따라서 부동산 관련 대출을 늘리려면 먼저 매매 시장이 활성화돼야 하는데 현재 논의되는 규제 완화 수준으로는 어렵다는 것이다.

주택담보대출 비중이 높은 국민은행도 하반기 부동산 관련 대출 확대 가능성을 일축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아무리 규제를 완화한다 해도 4∼5년 전처럼 대출 영업을 크게 확대할 순 없다”면서 “하반기에도 실거주자를 중심으로 한 대출 수요만 충족해주는 수준으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가 강화됐을 때도 생각처럼 대출 규모가 크게 줄어들지 않았다”면서 “만약 DTI를 10% 포인트 정도 완화해 투기성 자금이 들어온다고 해도 시장이 크게 변할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은 우량고객에 대한 대출 비중만 일부 확대할 뿐 하반기에도 리스크 관리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내부기준에 따른 우량고객을 대상으로 일부 여신을 확대할 예정이지만 나머지 부동산 관련 대출에 대해서는 보수적으로 접근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