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현대차 노조 방향 잘 잡았다
입력 2010-07-22 17:42
현대자동차 노사가 21일 임금협상에서 잠정 합의안을 마련함으로써 2년 연속 무파업 타결을 눈앞에 두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기본급 7만9000원 인상에 별도의 성과금, 격려금 등을 주 내용으로 하는 합의안을 놓고 오늘 조합원 찬반투표를 가질 예정이다. 현대차가 임금협상에서 무분규 타결을 기록한 것은 94년과 지난해뿐이며 2년 연속 무파업은 23년 역사상 처음이라고 한다.
강성 노조의 대명사로 불리며 매년 파업을 일삼았던 현대차 노조가 이처럼 달라진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대해 많은 사람들이 반기고 있다. 특히 울산시민이나 협력업체들은 얼마나 기분이 좋겠는가.
지난해 9월 ‘노사 상생’과 ‘중도 합리’를 내걸고 들어선 이경훈 집행부는 정치투쟁 대신 조합원 권익 향상과 근로조건 개선 등 노조 본연의 책무에 충실하고 타임오프제 등 첨예한 이슈에도 유연한 자세를 보였다고 한다. 이 위원장을 뽑아준 게 노조원들인 만큼 결국 4만5000여명 노조원들의 자세 변화라고 할 수 있다. 현대차 노조는 지난 4월 개정 노조법에 반대하는 금속노조의 총파업 찬반투표에서도 사상 최저인 38%의 찬성률로 정치투쟁에 대한 거부 의사를 확실히 했다.
무분규 타결은 좋은 일이지만 이번에도 역시 사측은 그 댓가로 적지 않은 인센티브를 제공했다. 물가상승률보다 높은 4.87%의 임금상승률은 차치하고라도 300%+200만원의 성과금에다 글로벌판매향상 격려금 200만원, 품질향상 격려금 100만원, 주식 30주 등의 부가적인 보너스만 합쳐도 웬만한 중소기업 연봉과 맞먹는다. 회사가 여력이 있다면 그럴 수도 있겠지만 현대차 노사가 협력업체들이나 비정규직 근로자들에게도 그만큼 신경을 쓰고 있는지 의문이다.
눈앞의 이익보다 중요한 것은 조직의 영속성이다. 100년 역사의 GM이 한순간에 무너지고, 품질의 대명사로 군림하던 도요타가 리콜 문제로 위기에 직면하는 게 기업의 현실이다. 영속성을 위해서는 노사화합 외에도 우수한 협력업체와 변치 않는 고객의 신뢰가 뒷받침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