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대화 전에 해야할 조치 있다”… 크롤리 美 차관보, ‘대북 유화정책 전환’ 분석 일축

입력 2010-07-20 18:28

미국이 유엔 안정보장이사회 의장성명 이후 유연한 대북정책으로 돌아서고 있다는 분석에 대해 국무부가 제동을 걸고 나섰다. 현재 국면은 6자회담 재개나 특사 외교로 북·미 직접 대화를 가질 상황이 아니고, 북한이 좀 더 전향적 자세를 가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필립 크롤리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는 19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주장하는 6자회담 재개를 위해선 “그것이 실현되기 전에 북한이 해야만 하는 분명한 조치들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과의 대화 전제조건으로 “비핵화 문제 등에 대한 북한의 조건과 의무들이 있는데, 이를 다루겠다는 뜻을 분명히 보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제 조건 충족이 그의 강조점이다. 그는 이 같은 부분에서 한국 정부와 전적으로 의견을 같이하고, 양국이 긴밀히 논의할 거란 점도 분명히 했다.

‘미국이 한국 정부에 대해 천안함 사건과 관련한 대응에 자제해줄 것을 요청했다’는 일부 일본 언론 보도에 대해 크롤리 차관보는 “그런 제안을 한국에 하는 게 미국을 위한 것인지 모르겠다”고 부인했다. 이어 “한국 정부는 엄청난 자제를 보여줬고, 천안함 사건 이후 보여준 한국 정부의 자세를 아주 존중하고 있다”고 만족감을 표시했다.

또 빌 리처드슨 뉴멕시코 주지사 방북 가능성에 대해서도 “북한에 보내는 문제를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잘라 말했다. 지난해 8월 김명길 당시 유엔주재 북한대표부 공사는 뉴멕시코에서 리처드슨 주지사를 만나 평양 방문을 초청해놓은 상태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북한에 억류 중인 미국인 아이잘론 말리 곰즈 석방문제와 천안함 사건 이후 북·미 대화를 위한 카드로서 그의 방북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미 재무부는 북한과 관련된 금융거래에 주의를 강화할 것을 거듭 촉구했다. 재무부 금융범죄단속반은 금융기관에 보낸 주의보를 통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자금세탁방지 국제기구(FATF)가 북한을 자금세탁 방지 및 테러자금 차단과 관련한 제도가 미비한 국가로 지목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이같이 당부했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 m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