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 구제역 매몰지 비상… 환경부, 수질오염 노심초사

입력 2010-07-20 18:25

장마전선이 한반도를 오르락내리락하는 요즘 환경부가 골머리를 앓고 있다. 구제역으로 인한 살처분 가축 매몰지가 장맛비에 영향을 받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 때문이다. 환경부는 농림부와 함께 최근 전국 구제역 매몰지 630여곳을 점검해 상태가 불량한 곳에 대해 시정조치를 내렸다고 20일 밝혔다. 표지판 설치가 부실하거나 배수로가 낮아지고 망가져 침출수가 유출될 우려가 있는 곳들이 대상이다.

농림부는 지난 4∼6월 4개 시·군에서 11건이 발병한 구제역 긴급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가축 4만9874마리를 매몰 처분했다. 매몰 이후 주변 환경피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맡고 있는 환경부는 매몰지 인근 지하수 오염도를 조사했다. 현재 가장 먼저 구제역이 발생했던 경기도 포천 지역의 결과만 나왔는데 47곳의 매몰지 가운데 14곳(29.8%)에서 질산성 질소, 일반 세균이 수질기준을 넘어섰다.

환경부는 “질소 비료, 퇴비, 분뇨 등의 영향으로 농촌지역의 질소·세균 농도는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밝혔다. 몇 군데 시범적으로 방사성 동위원소 측정 등 정밀조사를 해본 결과 지하수 오염이 매몰지 침출수에서 비롯되지는 않은 것으로 판명됐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정부는 구제역 피해 지역인 포천, 인천 강화, 충북 충주, 충남 청양의 마을 52곳 주민 1만9000여명에게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224억5400만원의 예비비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매몰지 반경 3㎞ 이내에 지방상수도가 들어가지 않는 마을 중 지하수 오염우려가 있는 지역에 상수도관을 연결할 계획이다. 식수 오염 우려에 떨고 있는 주민을 달래기 위한 대책이다.

더 나아가 환경부는 향후 살처분이 필요한 경우 매몰하는 대신 위생매립장으로 옮겨 묻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침출수 유출을 원천 차단해 지하수 오염 등 추가 환경피해를 막겠다는 복안이다. 하지만 농림부는 사체 운반 과정에서 전염병이 퍼질 우려가 있다며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다. 환경부는 감염성 폐기물 운반 차량과 같은 밀폐 차량을 이용하면 된다고 맞섰지만 농림부는 “침출수가 문제라면 소각 처리를 하면 된다”며 이동식 소각로 개발에 무게를 두고 있다.

선정수 기자 js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