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규 선에서 종결하기엔 미흡 검찰수사 다음 과녁은 이영호?

입력 2010-07-20 21:57

민간인 사찰 의혹으로 시작된 검찰 수사가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차원을 넘어서고 있다. 검찰이 수사를 확대할 경우 첫 번째 연결 고리는 이영호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검찰 내부에서는 이인규 전 지원관 수사로 이번 사건을 종결하기 힘들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됐다. 지금까지 제기된 여러 가지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이 전 비서관은 반드시 불러 조사해야 한다는 것이다. 누구를 사법처리하느냐는 법적 측면을 떠나 국민 여론 흐름상 이 전 지원관으로 수사를 끝내기는 쉽지 않다는 지적이었다. 검찰도 이 같은 분위기를 감안해 “지금은 총리실에서 수사 의뢰된 사건에 우선 집중하고 있다”며 여지를 남겨왔다.

대검찰청은 이 전 지원관의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 소환(19일)에 앞서 주말을 이용해 특별수사팀 수사진을 불렀다. 이 자리에서 대검은 그동안 수사 상황을 보고받은 뒤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핵심 인물인 이 전 지원관 수사 정도만 남았다”고 밝혔던 특별수사팀이 이 전 지원관 소환일에 관련자들을 대거 불러 조사한 것은 이 전 지원관 진술에 따라 수사가 어디로 튈지 모르므로 철저한 보강 수사를 해둬야 한다는 대검의 판단 때문이었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 전 지원관이 이 전 비서관과 관련된 내용을 일부 진술한 것으로 알려져 검찰 수사는 이 전 비서관 소환으로 자연스럽게 전환되는 분위기다.

이 전 지원관은 동향(경북 영덕·포항)인 이 전 비서관과의 관계가 이미 세상에 알려진 상황에서 ‘우리는 보고 등 특수 관계가 아닌 그냥 개인적 친분 관계’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청와대 사무실 방문 등의 진술을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검찰은 이 전 지원관 진술만으로 두 사람 사이에 업무상 관계가 없었다고 단정 짓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특별수사팀은 20일 이 전 지원관을 소환하지 않고 수사팀 내부 회의를 통해 향후 수사 방향과 일정을 검토했다.

검찰은 이 전 비서관 소환으로 이번 사건이 마무리되길 바라는 모습이다. 물의를 빚었다며 스스로 청와대를 떠난 이 전 비서관에 대한 소환 조사는 부담이 덜하지만 만일 수사가 그 윗선으로 확대될 경우 검찰 부담은 더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용훈 기자 co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