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엔 근로자 30% 출근 않고 근무… ‘스마트 워크’ 시대가 온다

입력 2010-07-20 17:56

직장내 사무실에 출근하지 않고 집이나 인근 공공장소에 마련된 공간에서 일할 수 있는 ‘스마트 워크(Smart Work)’ 시대가 올해부터 본격 열린다.

일과 육아를 병행하기 어려워 일자리를 포기하는 여성인력을 구제하고, 대도시의 교통혼잡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손실을 줄이기 위해서다.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와 행정안전부는 20일 청와대에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스마트 워크 활성화 전략’ 보고회를 갖고 “2015년까지 전체 노동인구의 30%까지 스마트 워크 근무율을 높여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대도시의 구청과 주민센터 등 공간에 첨단원격업무시스템을 갖춘 ‘스마트 워크 센터’를 만들고 회사와 동일한 사무환경을 조성하기로 했다.

우선 올해 13억3000만원을 투입해 서울 도봉구청과 경기도 분당에 스마트 워크 센터를 세워 시범 운영한 뒤 2015년까지 공공형 50곳과 민간형 450곳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또 대단위 아파트 건축시 스마트 워크 센터를 주민공동시설에 포함시키는 한편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자체 스마트 워크 센터를 갖춘 기업에 대해 육아시설 설치를 지원하고, 교통유발 부담금 감면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기로 했다.

스마트 워크 기반시설 확대를 위해 이동하면서 초고속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와이브로 서비스 지역을 2012년까지 전국 84개 시로 확대하고, 정보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마트 워크 서비스 인증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스마트 워크 시행에 맞춰 공무원 근태관리 체계와 조직 및 인사제도를 바꾸기로 했다.

이를 통해 정부는 2015년까지 공무원의 30%, 전체 노동인구의 30%가 스마트 워크에 참여하도록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이 경우 수도권의 원격근무 1일당 90여분의 출퇴근 시간이 절감되고 사무직 860만명이 동참할 경우 연간 111만t의 탄소배출량과 1조6000억원의 교통비용이 감소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이미 세계 각국에서는 스마트 워크 제도가 정착 단계에 있다. 네덜란드는 500인 이상 기업 가운데 91%가 이 제도에 동참하고 있으며, 미국의 수도 워싱턴 인근에 스마트워크센터 14개가 운영 중이다.

이 대통령은 회의에서 “스마트 워크 도입은 대혁명적 변화”라며 “전문가는 아니지만 KT 직원(3만1000여명) 같은 경우는 반은 출근 안 해도 일을 더 잘할 수 있는 것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황일송 남도영 기자 il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