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없는 쌀 대책] ‘사료용’ 재배 확대 추진… 식용보다 30∼35일 일찍 수확

입력 2010-07-19 21:40

아예 처음부터 사료용으로 쌀을 재배하는 방안을 놓고도 정부는 고심하고 있다. 올해 2월 국내 최초로 시범 재배에 들어간 사료용 벼는 녹양과 목우벼 등 2가지 전용품종이다. 그러나 쌀 재고량이 늘어남에 따라 쌀값이 하락을 면치 못하고 있어 2가지로 한정했던 사료용 벼 종을 30가지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농촌진흥청 관계자는 19일 “재고 쌀이 많아짐에 따라 애초에 사료용 벼를 재배하는 것은 물론, 재배 중인 사료용 벼를 30종까지 확대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며 “사료용 벼 재배의 핵심은 식용이 아닌 만큼 맛을 고려하지 않되, 경쟁관계인 옥수수 사료에 비해 가격과 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2월 농림수산식품부는 올해부터 식용이 아닌 사료용 벼를 전국 4개 군(전남 해남, 충남 당진, 전남 장흥, 전북 장수)의 논 203㏊에서 시범 재배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최근 2∼3년간 대풍으로 식용 쌀이 남아도는 문제를 해결하고 사료용 쌀 수입을 대체하기 위한 게 추진 배경이었다.

사료용 벼는 식용 벼에 비해 30∼35일 정도 빨리 수확해 개나 돼지 등 가축의 사료로 사용하게 된다. 이는 논 형태와 기능을 유지하면서 쌀 생산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국가적으로 식용 쌀이 필요할 경우엔 쌀 생산 용도로 즉시 전환이 가능하다. 그러나 사료 가격이 낮기 때문에 농민들의 반발에 부닥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식용 쌀과 사료용 쌀 가격 간 차액을 지원해주는 방안도 함께 검토 중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비슷한 처지에 있는 일본은 이미 1999년부터 사료용 벼 재배를 시작, 2008년엔 9000㏊로 확대됐다”며 “이에 따른 농민들의 반발을 잠재우기 위해 소득을 보전해주는 농가 보상 제도가 함께 시행 중인데, 우리도 이를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아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