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회측 "통합 감독선거" 제안에 재선거측 "협상 파트너 아냐"

입력 2010-07-19 17:23

[미션라이프] 기독교대한감리회의 정치적 분열 양상이 각 연회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감독회장 선출을 놓고 1년 10개월째 내홍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11개 연회의 감독선거 역시 ‘총회 측’과 ‘재선거 측’으로 분리돼 치러질 위기에 놓였다.

현재의 제28회 연회 감독들은 오는 10월 임기가 만료된다. 감리회 교리와 장정대로 하자면 늦어도 이달 안에 감독 후보 등록을 하고, 9월 말 선거를 실시한 뒤 10월 총회를 통해 정식 취임이 이뤄져야 한다. 그러나 감독회장 선거에 막혀 감독선거는 전혀 진척이 없는 상황이다.

‘6·3 총회’ 측 선거관리위원회는 19일 서울 한 식당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연회별로 2명의 감독이 선출되면 감리교회는 정말 심각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며 재선거 측에 ‘통합선거’를 제안했다. 일종의 ‘투 트랙(two track)’ 전략인 셈이다. 20일 재선거 측이 감독회장 선거 개표를 시행하고, 당선자를 발표하면 총회 측 당선자인 김국도 임마누엘교회 목사와 함께 ‘2인 감독회장 체제’에 들어가게 되지만, 연회 감독선거는 이와 별도로 하나의 선관위로 치르자는 말이다. 이를 위해 총회 측은 당초 이날부터 3일간 받기로 했던 감독 후보 접수를 다음달 20일까지로 연기했다.

박상혁 선관위원장은 “재선거 측 감독회장을 인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어쨌든 실체는 있는 것 아니냐”며 “감독선거가 통합돼 시행되지 않으면 연회가 갈라지고, 각 지방이 갈라지고, 결국 이웃 교회들끼리 갈라지게 된다”고 말했다. 다만 큰 틀에서 ‘협상’을 제안했을 뿐 구체적인 방법이나 일정 등은 밝히지 않았다. 박 위원장은 “20일 누가 당선되느냐에 따라 융통성 있게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재선거 측은 “총회 측 선관위는 협상 파트너가 될 수 없다”며 거부 의사를 명확히 했다. 재선거 측 한 관계자는 “감독선거 역시 교리와 장정대로 시행한다는 게 우리의 원칙”이라며 “현재 감리회는 이규학 임시 감독회장과 재선관위가 유일한 합법적 기구이며 불법 단체와의 논의는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 직무대행 역시 지난 15일 발송한 목회서신에서 “교리와 장정, 법원이 부여한 권한에 따라 7·13 재선거 완료 후 즉시 제29회 감독 선거를 위한 선관위를 조직해 선거를 실시하겠다”며 “감독 출마 예정자가 합법적 선관위가 아닌 곳에 등록하거나 이중 등록을 시도해 정당하게 입후보하지 못하는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유념하기 바란다”고 경고했다.

이런 상황에서 일부 목회자들 사이에서는 연회별로 독자적인 감독선거를 치르자는 목소리도 나온다. 연회 선거만이라도 중앙 정치 바람에 휘둘리지 않도록 하자는 취지에서다. 그러나 이 역시 현 교단법상 불법 논란의 소지를 안고 있다.

국민일보 미션라이프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