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민영화 방안’ 7월말까지 확정

입력 2010-07-16 21:37

공적자금 12조8000억원이 들어간 우리금융지주가 이달 말 본격적인 민영화 물살을 탄다. 금융당국은 밑그림을 모두 완성하고, 마지막 퍼즐조각을 맞추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이달 말까지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을 확정해 발표하겠다고 16일 일정을 공개했다. 금융위는 그동안 상반기 내로 민영화 방안을 확정하겠다던 방침이 어긋난 뒤 이달 중순부터 논의를 재개했다. 금융위는 최근 청와대 등 관계부처와 활발하게 접촉하며 협의를 마쳤다(본보 7월 15일자 12면 보도).

금융위가 최종시한을 못 박은 것은 일부 기술적인 쟁점을 제외하고 상당한 진전을 이뤘기 때문이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15일 장시간에 걸친 회의를 열고 최종안 도출을 시도했었다.

하지만 자회사 분리매각 여부, 분리매각 범위를 놓고 일부 이견이 있어 추가 논의를 하기로 했다. 대신 발표 시한의 마지노선을 이달 말로 정했다.

공자위원들은 우리금융그룹에서 경남은행, 광주은행을 떼내 별도로 시장에 매각하는 데 의견을 모았다. 다만 우리투자증권 분리매각을 놓고 결론을 내리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투자증권을 분리매각해 덩치를 줄이면 우리금융지주 민영화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는 반면 시장가치가 떨어지는 부작용도 있기 때문이다.

최상목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사무국장은 “전체적으로 컨센서스(공감대)를 형성했다. 그렇기 때문에 발표 시한을 밝히는 것”이라며 “관계기관과 합의된 것이다. 이번에는 확실하게 끝낼 것이고, 다시 연기할 일은 없다”고 말했다.

민영화 방식은 정부가 지분 일괄매각이나 분산매각, 합병 등으로 특정하지 않고 ‘시장 선택’에 맡긴다는 방침을 유지할 전망이다. 인수 후보자가 인수 방식까지 선택해 제안하면 최선책을 고르겠다는 취지다.

김찬희 기자 c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