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고사 거부 학생 출결처리 혼선… 전북, ‘대체학습’ ‘무단결과’ 교육청-교과부 방침 달라

입력 2010-07-15 18:09

학업성취도 평가를 싸고 한바탕 홍역을 치른 전북지역 일선 학교들이 시험에 응시하지 않은 학생들의 출결(出缺) 처리를 놓고 또 다시 혼선을 빚고 있다.

시험전 내려온 ‘대체학습 프로그램을 시행하라’는 도교육청의 방침과 ‘무단결과(缺課)로 처리하라’는 교육과학기술부의 방침이 서로 달라 해당 학교들은 해법을 찾지 못하고 애를 태우고 있다. 이에 똑같은 사안을 놓고 자칫 어느 학생은 ‘출석’으로 처리되고, 다른 학생은 ‘무단결과’로 처리되는 상황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도내에서 13∼14일 평가때 대체프로그램을 실시한 학교는 초등학교 18곳, 중학교 13곳, 고등학교 2곳 등 모두 33곳. 첫날 172명과 둘째 날 150명이 시험을 보지 않고 학교에서 마련한 대체프로그램에 참석했다.

학교들은 교과부 방침을 따르자니 그 피해가 학생들에게 돌아갈 것이 분명하고, 도교육청 방침을 따를 경우 추후 교과부의 문책에 대한 부담이 커 난감해 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도교육청은 ‘대체프로그램 참여 학생의 출석 여부는 학생생활기록부 지침에 의한 학교장의 고유 권한’이라는 어정쩡한 입장만 되풀이해 해당 학교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앞서 도교육청은 그동안 교과부로부터 받아둔 공문 6건을 마치 폭탄투하 하듯 시험 하루전(12일)에 한꺼번에 보내 학교들을 대혼란에 빠뜨린 바 있다. 하지만 13일 이후 출결 등에 대한 공문은 한 건도 내려 보내지 않았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