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나라당 친이-친박 갈등부터 추슬러야
입력 2010-07-14 21:17
한나라당이 어제 전당대회를 통해 새 지도부를 출범시켰다. 임기 2년인 안상수 호는 차기 총선 공천과 대선 경선을 관리하는 막중한 권한을 갖고 있다. 권한이 큰 만큼 책임도 크다. 총선과 대선에서 국민들로부터 재신임을 받으려면 당을 완전히 바꾸지 않으면 안 된다. 6·2 지방선거 패배의 그늘에서 벗어나 당에 활기를 되살리기 위해서는 개혁의 깃발을 높이 들어야 한다.
한나라당이 당면한 최대 과제는 역시 화합이다. 친이-친박으로 두 동강난 당을 하나로 묶지 못할 경우 차기 총선도, 대선도 기대할 수 없다는 사실은 한나라당 당원들이 너무나 잘 알고 있다. 당 내분은 지방선거 패배의 주요 원인이기도 하다.
계파 갈등은 국회에서 한목소리를 내지 못하게 됨으로써 이명박 정부의 국정운영에 걸림돌로 작용한다. 세종시 수정안 불발이 대표적인 예다. 해결책은 단 하나, 친이 주류세력이 반대세력을 끌어안는 수밖에 없다. 새 대표가 친이 중진인 만큼 대통령과의 교감 속에 획기적인 화합대책을 내놔야 한다. ‘박근혜 총리론’도 가볍게 들어 넘기지 말았으면 한다.
당의 쇄신은 절체절명의 과제다. 한나라당은 그동안 청와대에 일방적으로 끌려다니는 모양새였다. 당·청 관계가 건전해지려면 당이 민심을 제대로 읽고 이를 청와대에 가감 없이 전달함으로써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도움을 줘야 한다. 그러나 당이 그런 역할을 전혀 하지 못함에 따라 대통령은 일방통행식 리더십을 행사하게 됐고, 그것이 여론을 악화시켰다. 해법은 간단하다. 당의 여론수렴 기능을 강화하고 당·청 관계를 재정립해야 한다. 특히 젊은층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창구를 당에 만들어야겠다.
새로운 여야관계 정립도 중요한 과제다. 지금까지 과반 다수당이란 이유로 밀어붙이기식 행태를 보임으로써 여론의 지탄을 받았다. 4대강 사업과 같은 주요 국정 현안에 대해서는 야당들과 머리를 맞대고 밤을 새워가며 대화하는 모습을 보일 때 민심이 돌아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