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술국치 100년] “日은 獨을 배워라”… 징용문제, 과거 잊으면 미래에도 반복된다
입력 2010-07-13 18:42
경술국치 100년 기획 잊혀진 만행… 일본 戰犯기업을 추적한다
제4부 국치 100년, 이젠 해법 찾아야
① 일본이 배워야 할 ‘전후보상’ 교과서, 독일
국민일보의 장정(長征)이 이제 막바지에 다다랐다.
남단 후쿠오카(福岡)현에서 북단 홋카이도(北海道)까지 일본 본토 전역을 비롯해 러시아 사할린, 사이판·티니안·로타 등 남양군도(南洋群島), 여기에 독일과 중국까지 답사한 숨 가쁜 발걸음이었다. 해남과 거문도의 남도(南道) 땅끝마을까지 국내에서도 취재에 필요한 곳은 어디든 달려갔다. 그 현장에서 일제시대 강제동원 피해자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얼마나 모진 고통을 겪었는지, 아울러 역사적 죄과를 부인해 온 일본 정부와 기업들에 어떤 책임이 있는지를 드러내는 데 온 힘을 기울였다.
지난 3월 1일부터 연재를 이어 온 본보의 경술국치 100년 기획 르포 ‘잊혀진 만행… 일본 전범기업을 추적한다’ 시리즈가 14일자부터 마지막 4부에 돌입한다. 일제 강점기 민족적 수난이었던 조선인 강제동원 문제를 언론사 최초로 장기간에 걸쳐 집중적으로 파헤친 본보는 4부에서 피해자들이 어떻게 가해자 측으로부터 사죄와 보상을 받을 수 있을지 그 해법을 모색해 본다.
우선 첫 회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에 끌려갔던 강제노동 피해자들이 독일 정부와 기업으로부터 보상받은 사례를 독일 현지 취재를 통해 소개한다. 2회에선 태평양전쟁 때 일제에 강제동원됐던 중국인 피해자들이 일본 기업으로부터 공개적 사과와 함께 상당한 액수의 보상을 받은 모델 사례를 중국 현지 취재를 통해 분석해 본다. 이어 우리 자신, 즉 한국 정부와 정치권 등이 그간의 소극적 자세를 버리고 일본 측에 대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제시해 볼 계획이다.
국민일보는 더 늦기 전에 피해자들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 진실을 밝히고, 궁극적으로는 일본 정부와 기업이 적절한 사죄와 배상에 나서도록 언론이 할 수 있는 몫을 다하려 한다. 바로 세우지 못한 과거는 미래에도 반복되기 때문이다. 2차대전 당시 아우슈비츠 수용소 지옥에서 살아남았던 유대계 작가 프리모 레비(1919∼1987)는 이렇게 경고했다. “과거에 이런 일이 벌어졌다. 그러므로 그런 일은 다시 일어날 수 있다. 바로 이것이 우리가 말하고자 하는 핵심이다.”
베를린=특별기획팀 글·사진 김호경 권기석 우성규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