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평乙 잡아야 산다… 7·28 재보선 7월13일부터 후보자 등록

입력 2010-07-12 18:45


7·28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가 13일 후보자 등록을 시작으로 열전에 돌입한다. 전국 8곳에서 치러져 ‘미니 총선’으로 불리는 이번 재·보선에선 ‘영포게이트’와 4대강 사업이 핵심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승부처인 서울 은평을 선거 결과가 최대 주목거리다.

12일 각 당이 주장하는 초반 판세를 종합하면 광주 남구와 인천 계양을은 민주당 우세 지역으로, 충북 충주와 강원 철원·화천·양구·인제는 한나라당 백중우세 지역으로 분류된다. 서울 은평을, 충남 천안을, 강원 원주, 강원 태백·영월·평창·정선 등 4곳은 경합 또는 민주당 백중우세 지역으로 구분되고 있다.

한나라당은 8곳 중 지방선거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가 우위를 점한 곳은 1곳뿐이었다는 점에서 2곳에서만 승리해도 지방선거 패배의 충격에서 벗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4일 전당대회에서 새 지도부가 구성되면 총력 지원 체제에 들어갈 예정이다.

민주당은 서울 은평을 한나라당 후보인 이재오 전 국민권익위원장을 ‘4대강 전도사’로 명명하는 등 4대강 문제를 선거 쟁점화할 태세다. 또 국무총리실의 민간인 불법 사찰 사건 등으로 6·2 지방선거에서 나타난 ‘심판 표심’이 재연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투표일이 휴가철인데다 최근 야당 내에서도 계파 갈등, 공천 갈등이 불거졌다는 점 때문에 지지층과 젊은 유권자들의 투표율이 낮아질까 우려하고 있다. 민주당 정세균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는 이날 충주에서 정기영 후보를 배석시킨 가운데 최고위원 회의를 개최한 데 이어 강원 지역 후보자 선거사무실에 잇따라 참석하는 등 본격적인 지원에 나섰다.

자유선진당은 유일하게 후보를 낸 천안을에 당 소속 의원들을 총동원하며 당운을 걸고 있다.

이처럼 여야가 이번 재·보선 승리를 판단하는 기준은 다르다. 다만 여야 모두 최대 승부처인 은평을이 승패의 판단 기준이 될 것이란 점에는 크게 이의를 달지 않는다. 특히 민주당은 현 정부 실세인 이 전 위원장을 누르지 못하면 지방선거 승리까지 빛이 바랠 것으로 보고 있다.

민주당엔 지방선거 승리 공식처럼 여겨졌던 야권 단일화가 은평을에서 난항을 겪고 있는 점이 고민거리다. 국민참여당과 민주노동당은 모두 민주당의 양보를 요구하고 있는 반면 민주당은 “아름다운 연대가 아닌 이기는 선거 연대가 중요하다”며 여론조사 방식 경선으로 후보 단일화를 하자고 맞서고 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