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 관련물품 팔았다가 압수수색 당해”… 민주당, 불법사찰 사례 추가 공개

입력 2010-07-12 18:45


민주당은 12일 당에 제보된 추가 민간인 불법 사찰 사례를 공개하며 추가 의혹을 제기했다.

민주당에 따르면 서울의 50대 인쇄업자는 지난해 6월 노무현 전 대통령 추모 동영상 제작 후 검찰 민원실로부터 “노사모냐? 저작권법 위반 등 혐의로 사법처리될 수 있다”는 협박을 받았다. 노 전 대통령 관련 물품을 판매한 온라인 업체는 지난해 12월 모 정부부처로부터 압수수색을 당했다. 한 기업인은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로부터 사찰을 받은 뒤 국세청으로부터 세금을 추징당하고, 검찰에 기소돼 재판받았다고 민주당은 전했다.

민주당은 또 공직윤리지원관실 문서수발 내역을 분석한 결과 경찰청 특수수사과에 이첩한 문건 3건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당 관계자는 “특수수사과는 관례적으로 ‘하명수사’하는 곳이기 때문에 민간인 사찰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신건 위원장을 비롯한 민주당 ‘영포게이트’ 진상조사특위 소속 의원 10여명은 여의도 KB국민은행 본점을 방문, 선진국민연대의 인사 개입 의혹을 집중 제기했다.

민주당 특위 위원들은 “모 부행장이 은행 경영고문을 맡았던 유선기 선진국민정책연구원 이사장, 조재목 KB금융 사외이사 등과 강정원 행장을 연결하는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다. 김재윤 의원은 “부행장들은 행장이 되기 위해 여권 실세와 연결된 선진국민연대에 줄을 섰다”며 “유 이사장은 모 부행장의 도움으로 KB로부터 매달 1000만원 이상의 고문료를 받았고, 선진국민정책연구원 세미나 때 4000만원, 이명박 대통령 취임 1주년 기념 음악회 당시 1000만원을 받아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특위 위원들은 불법 민간인 사찰 피해자인 김종익씨에게 압력을 행사했던 남모 부행장을 만나려고 했으나 면담하지 못했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