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리콜’ 급증, 왜… 업체 태도 변화 뚜렷 깐깐한 소비자도 한몫
입력 2010-07-12 20:40
제작회사가 제품 결함을 무상으로 수리해주는 리콜이 자동차에 보편화되고 있다. 소비자들이 안전과 직결되는 자동차 품질을 꼼꼼히 따져 강제 리콜을 요구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데다 올 초 일본 ‘도요타 사태’로 교훈을 얻은 자동차 업체들이 자발적 리콜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전 차종 리콜=국토해양부는 12일 르노삼성자동차의 SM3에서 연료밸브가 완전히 닫히지 않아 시동이 꺼질 수 있는 결함이 발견돼 리콜한다고 밝혔다. 리콜 대상은 지난해 5월 6일부터 올해 6월 15일 사이에 생산된 5만9410대다.
자동차 리콜 대수는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2007년 한 해 동안 5만6312대였던 리콜 대수는 2008년 10만5986대로 배 가까이 늘었고 지난해엔 15만8835대로 증가했다. 매년 5만대 가량 늘어난 셈이다. 2008년 줄었던 수입차 리콜도 지난해부터 다시 증가하고 있다.
올해는 더 심하다. 이달 들어 도요타와 닛산이 리콜을 결정한 데 이어 SM3가 가세하면서 올 들어 지금까지 리콜 자동차는 22만9000대에 달했다. 지난해 전체 리콜 대수에 비해 약 7만대나 늘어난 수치다. 리콜 자동차는 국산과 수입차 구분이 없다. 차종도 다양하다.
◇왜 늘었나?=자동차 제조업체들의 태도 변화가 가장 큰 이유다. 과거 업체들은 결함이 발견되더라도 쉬쉬했고 문제가 크게 불거지기 전까지는 최대한 버텼다. 하지만 최근 들어 스스로 결함을 신고, 자발적 리콜에 나서고 있다. 이날 리콜 발표가 난 SM3는 르노삼성이 자발적으로 리콜에 나선 것이다. 지난 3월 현대차의 YF쏘나타 리콜과 1월 GM대우의 라세티 프리미어 리콜 역시 업체의 자발적 조치였다.
정부가 자체 조사를 통해 제작 결함을 심사, 제작사에 리콜을 명령하는 강제 리콜은 2008년만 해도 전체의 대부분인 9만7104대를 차지했었다. 자발적 리콜 증가는 실상을 은폐하려다 큰 타격을 입은 도요타 사태가 결정적이라는 분석이다.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정부로선 법과 규칙에 따라 리콜을 판정한다는 입장에 변화가 없다”면서도 “리콜에 대해 거부감이 크던 업체들이 최근 들어 자발적 리콜에 신속히 나서 전체 리콜 대수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또 렉서스 등 고급 차종들마저 리콜에 나서면서 ‘리콜=불량제품’ 이미지가 많이 희석된 점도 한 이유로 꼽힌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 리콜을 할 땐 품질이 뒤처진다는 인상이 강했지만 세계 유수의 자동차 메이커들도 모두 리콜에 나서면서 이런 이미지는 사라졌다”며 “빠른 리콜을 통해 서비스가 뛰어나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게 더 낫다고 판단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과거엔 그냥 넘어갔을 사소한 결함도 리콜에 나선 점, YF쏘나타와 SM3, SM5 등 국내 베스트셀러 차종들이 리콜 대상이 된 점 등도 리콜 대수 증가의 한 원인으로 꼽힌다.
김도훈 기자 kinch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