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을 노인이 살기 좋은 도시로… ‘어르신 행복타운’ 5곳 설립한다

입력 2010-07-12 22:21


서울시내 치매노인 보호시설이 350곳으로 늘어나는 등 내년부터 2020년까지 노인 복지 사업에 3조8000억여원이 투입된다. 또 노인 교통안전을 위한 노인보호구역이 500곳으로 확충되고, 노인이 저축한 금액만큼 시와 민간이 지원하는 ‘실버희망통장’ 사업 등이 추진된다.

서울시는 12일 이 같은 내용의 ‘2020년 고령사회 마스터플랜’을 발표했다. 시는 2012년 노인인구가 100만명을 넘고 2019년에는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노인들이 보다 건강한 노후를 즐길 수 있도록 각종 인프라를 확충한다는 방침이다.

◇노인 안전·건강 지원=시는 우선 노인이 안전하게 외출할 수 있도록 3438억원을 들여 노인보호구역을 현재 28곳에서 500곳으로 늘릴 방침이다. 양로원과 노인복지관 주변 등에 지정될 예정인 노인보호구역에는 과속방지턱과 미끄럼 방지 포장, 경사로 안전가드레일이 설치된다.

시는 또 3700억원을 들여 치매노인 보호시설인 ‘데이케어센터’ 100개를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다. 데이케어센터는 올해 하반기까지 예정된 23개가 추가되면 연말까지 250개로 늘어난다. 이와 함께 주치의와 컴퓨터 화면으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원격진료시스템 등의 우선대상자로 홀몸 노인을 선정할 계획이다.

시는 100세 노인 부양가족에 대한 경로수당 도입, 기초노령연금 확대, 병원 진료비 후불제 등의 사업도 추진한다. 소규모 노인복지관은 70곳으로, 요양시설은 600곳으로 각각 늘어난다. ‘어르신 행복타운’은 14년까지 5곳이 설립된다.

◇노인 일자리 및 주택 확대=시는 노후에도 안정적인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4076억원을 들여 노인적합형 일자리 10만개를 만들 계획이다. 또 노인이 일자리 참여를 통해 저축한 금액만큼을 지원해주는 ‘실버희망통장’을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등과 협의해 만들 예정이다.

노인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고령자용 임대주택은 매년 800가구씩, 영구임대주택을 실버주택으로 리모델링한 고령친화형 소규모 주택은 매년 450가구씩 공급하기로 했다. 노인이 살기 안전하고 편리한 주택을 보급하기 위해 내년에 ‘주택 유니버설 디자인’을 도입, 고령자용 임대주택 설계에 적용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노인 특성에 맞춘 포괄적인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해 나가겠다”며 “시의회 예산 심의를 받아야 하지만 야당 역시 노인 복지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는 데 공감하고 있어 사업을 추진하는 데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