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3’ 후임 여전히 오리무중… ‘秘線’ 정인철·이영호 거취 주목

입력 2010-07-11 21:59

청와대 수석·비서관 인사가 15일쯤으로 다가오면서 막판 조율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임태희 대통령실장 내정자, 그간 청와대 개편과 내각 인사를 준비해온 정정길 현 대통령실장과 후임 인선을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이 집권 후반기를 맞아 청와대 대폭 쇄신 방침을 정했다는 얘기가 흘러나오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11일 “민간인 불법 사찰, 선진국민연대 인사개입 의혹 등 여러 문제가 제기된 만큼 인사 폭이 커질 수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대폭 인사일 경우 이 대통령의 스타일과 맞지 않는다는 문제가 생긴다.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현재 거론되는 분들을 쓸 경우 돌려막기라는 비판이 불가피하고, 그렇다고 이 대통령 스타일상 잘 모르는 사람을 쓰기도 어렵다”며 “고민스러운 대목”이라고 말했다.

일단 비선라인 의혹을 받고 있는 박영준 국무차장과 정인철 기획관리비서관의 거취가 주목된다. 청와대는 지난 8일 조직 개편을 통해 기획관리비서관실을 참여정부 시절 국정상황실과 같은 기획조정실로 위상을 강화했고, 정 비서관은 신임 기획조정실장으로 유력한 상태였다. 하지만 정 비서관이 공기업 인사 관련 의혹의 핵심으로 부상하면서 변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현재 박 차장과 정 비서관은 비선 관련 의혹을 강하게 부인하고 있는 상태다. 그러나 이영호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은 “물의를 빚어 죄송하다”며 사표를 제출했다.

정무수석, 홍보수석, 인사기획관 등 교체 가능성이 높은 ‘빅3’ 인사는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김두우 메시지기획관,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 등이 하마평에 오르지만 조합이 쉽지 않다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특히 10개월째 공석인 인사기획관 자리에는 신 차관 또는 김명식 인사비서관의 승진 가능성이 거론되지만 최근 인사 전횡 파문을 가라앉히기 위해서는 공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제3의 인물을 발탁해야 한다는 논리가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개각은 당초 8월 중순설이 유력했으나 다시 7·28 국회의원 재·보선 직후에 해야 한다는 주장이 등장하고 있다. 인사가 너무 지연된다는 논리에서다. 정운찬 국무총리의 거취는 이 대통령의 최종 결심과 상관없이 실무선에서 후보군 선정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는 전언이다. 개각은 ‘7개 +α 부처’ 교체 가능성이 있다. 교육과학기술부 문화체육관광부 농림수산식품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고용노동부 국토해양부 등 사회 관련 부처에 외교안보 부처 중 1~2개 교체도 거론되고 있다.

농식품부 장관 후보로 조일호 전 차관이 검토되고 있으나 충남 출신이라는 점이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의원 입각설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여권 내 파워게임 등을 거치면서 한나라당의 불만이 팽배한 상태”라며 “의원들의 입각 폭이 커질 수도 있다”고 전했다. 현재 진수희 의원이 복지부 장관 후보군에 포함됐으며 전당대회 이후 문화부 교과부 등에 의원들이 입각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