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권 재건축 아파트도 금리 직격탄… 매수자 관망세에 거래 뚝

입력 2010-07-11 18:30


서울 강남지역의 재건축 아파트가 금리 인상의 직격탄을 맞았다. 일부 재건축 단지에서는 금리 인상 발표 후 하루 만에 호가가 1000만원 이상 떨어졌다. 최근 안전진단을 통과한 재건축 단지마저 매수자들의 문의전화가 뚝 끊겼다. 이 같은 현상은 한동안 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추가 금리 인상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부동산시장이 오랫동안 침체되면서 가격이 큰 폭으로 떨어지고 거래마저 끊긴 시점에 금리 인상이 발표돼 재건축 아파트에 미치는 충격이 더 큰 것 같다고 말했다.

11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서울 개포동 주공1단지 50㎡형 호가는 금리 인상 발표 전에 비해 1000만원 하락한 9억원선이다. 지난달 28일 안전진단을 통과한 뒤 매매가격이 1억원 정도 오르며 강세를 보였던 송파구 잠실주공도 약보합세로 돌아섰다. 하지만 찾는 사람은 없다.

인근 중개업소 대표는 “안전진단을 통과한 뒤 적극적으로 사려던 사람들도 ‘금리가 올라 겁나서 못 사겠다’며 발길을 돌리고 있다”고 말했다. 금리 인상은 경기가 좋아진다는 뜻이니 이 기회에 사두라고 설득해 봐도 소용이 없다는 것.

재건축 시공사 선정을 앞둔 서울 둔촌동 주공과 고덕동 주공 단지는 아직 가격이 큰 폭으로 떨어지지는 않았지만 거래는 안 되고 있다. 그러나 금리 인상이 지난주 금요일 단행된 점을 감안하면 아직 본격적인 호가 하락은 시작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많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거래공백이 계속될 경우 급매물이 나와 가격하락이 불가피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특히 재건축 아파트는 매입자금의 대출 의존도가 높아 금리 인상에 타격을 쉽게 받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게다가 반등 요인이 없어 좀 더 지켜보자는 심리가 시장에 팽배해지면서 가격하락을 부추기고 있다. 함영진 부동산써브 부동산연구실장은 “심리적 위축 요인이 크다”며 “단지에 따라 1억∼2억원씩 낮아졌는데도 추가 하락을 기대하는 분위기가 팽배해 있다”고 말했다.

재건축 시공사들도 골머리를 앓고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금리 인상으로 업체들의 금융부담이 적지 않다”며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하며 재건축 사업에 뛰어들었던 업체들이 이자부담 증가로 당초 제시했던 조건을 못 맞추게 될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 이럴 경우 시공사와 조합원 간의 마찰로 공사가 지연돼 가격하락을 초래하게 된다.

김도훈 기자 kinch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