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상무소각장 2013년까지 외곽 이전
입력 2010-07-11 19:04
1990년대 입지선정부터 극심한 집단민원을 발생시켜온 광주 상무소각장의 외곽 이전과 이 시설의 오염물질 배출에 따른 피해보상이 추진된다.
11일 광주시에 따르면 1998년 12월 준공 이후 상무지구 주민들의 끈질긴 반대로 2년 넘게 제 역할을 못하다가 2001년부터 가동되기 시작한 상무소각장이 외곽으로 옮겨질 방침이다.
시는 이를 위해 기후변화대응과 등 공무원과 상무소각장주민협의체 대표들로 소위원회를 구성해 늦어도 2013년까지 이전과 보상작업을 마치기로 했다.
시는 그동안 오염물질 배출에 시달려온 상무지구 주민들에게 난방비나 복지시설을 확충하는 형식으로 피해보상에 나서기로 했다.
이와 관련, 시는 당초 상무소각장과 가까운 4개 아파트 2224가구 1만여명을 보상대상으로 정하려던 방침을 변경해 최대 상무지구 반경 1.3㎞내 14개 단지 9987가구 4만여명으로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시는 현행법상 소각로 영향 범위는 300m에 불과하지만 주민의견을 최대한 수렴해 상무지구 전체 주민에 대한 보상에 착수키로 한 것이다.
강운태 시장은 “상무소각장은 첫 단추를 잘못 끼운 것으로 임기 내에 이전하겠다”며 “구체적 대안은 준비작업을 마치는대로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720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하루 400t의 처리용량을 갖추고 완공된 상무소각장은 다이옥신 배출 등 환경오염을 내세운 상무지구 주민들의 소송과 잦은 반대시위, 자녀들의 등교거부 등 거센 반발로 6차례나 시험가동이 연기되고 7년여간 법적 분쟁이 계속되는 등 지금까지 숱한 우여곡절을 겪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