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적박대 당한 민주 조사특위, 공직윤리실 ‘절차’ 이유 퇴짜

입력 2010-07-08 21:33

국무총리실 산하 공직윤리지원관실의 전신은 2006년 8월 생겼다가 2008년 참여정부 시절 말기에 없어진 총리실 산하 조사비서관실이다. 현 정부 들어 공무원에 대한 상시 감찰 기능이 필요하다는 지적에 2008년 초 7월 신설됐다. 당시 총리실 사무차장 산하에 있었지만, 지난해 3월 총리실장 소속으로 바뀌었다. 세종로 정부종합청사에 근무하는 공무원들이 퇴근하면서 촛불 시위에 동참하는 사례가 빈발하자 감찰 강화 차원에서 만들어졌다는 설도 있다.



신건 위원장을 비롯한 민주당 ‘영포게이트 진상조사특위’ 소속 의원들은 8일 오전 10시30분 서울 창성동 총리실 별관에 위치한 공직윤리지원관실을 찾았다. 그러나 정식 절차를 밟지 않았다는 이유로 총리실이 불허하자 1층 로비에서 발길을 돌렸다. 총리실은 민주당 의원 도착 30분전까지만 해도 정상 가동되고 있는 엘리베이터를 멈춘 뒤 ‘수리 중’ 딱지를 붙이기도 했다. 신 위원장은 “진실을 위해 검찰은 물론 야당 조사에도 적극 협조하겠다는 정운찬 총리의 발언과 맞지 않다”며 “국민은 그 안에 괴물이 살고 있다고 생각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총리실로 파견된 타 부처 공무원은 “저 조직이 뭐하는 곳이냐고 물어보니 총리실 직원이 ‘우리와는 상관없는 조직’이라고 하더라”고 했다.

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