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김종익씨 KB한마음 대표될 때 특혜… 검은돈 오간 권력형 비리”

입력 2010-07-08 22:03


한나라당 조전혁 의원이 8일 제기한 의혹은 크게 두 가지다. 우선 불법 사찰 피해자인 김종익씨가 국민은행에서 명예퇴직을 한 뒤 KB한마음(현 NS한마음) 대표로 가는 과정에서 특혜가 있었다는 것이다. 또 김씨가 거래업체를 상대로 매출액 부풀리기 등의 방법으로 비자금을 조성했고, 이게 노무현 정권 실세들에게 전달된 정황이 있다는 내용이다.



◇KB한마음 특혜 의혹=조 의원은 A4용지 한 장에 정리된 제보 내용을 공개하면서 제보자는 국민은행 내부인사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 제보자는 “국민은행에서 형식적으로 설립한 자본금 1억원의 KB한마음 주식이 액면가로 김씨에게 특혜 분양됐다”며 조사를 촉구했다.

KB한마음은 국민은행 직원들의 퇴직 후 일자리 마련을 위해 희망퇴직자들과 은행 직원들의 출자로 같은 해 4월 설립됐다. 제보자는 “국민은행이 주식을 넘겨주려면 퇴직한 직원 전체 소유로 해야 맞는데 김씨의 개인회사가 됐다”고 주장했다.

이런 일이 가능했던 배경에 대해 제보자는 김씨가 2005년 구조조정 대상자가 아님에도 퇴직하겠다는 글을 올렸고, 당시 행장이 이를 활용해 3000여명에 이르는 구조조정을 단행하면서 그 대가로 KB한마음 사장 자리를 김씨가 꿰찼다고 설명했다. 또 “당시 인사담당 부행장이 노사모 관련 인물이었고, 김씨 역시 노사모 멤버로 알고 있다”며 “당시 행장과 부행장, 김씨가 짜고친 퇴직 고스톱판이었다”고 했다.

이에 대해 국민은행 관계자는 “현재 KB한마음이 계열사가 아니어서 자세한 상황을 모른다”면서 “다만, 폭로에 나온 대규모 명예퇴직 시기, 일부 인사의 당시 직책이나 역할 등은 실제와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

◇비자금 조성 의혹=조 의원은 “A씨가 2008년 KB한마음과 거래할 당시 3000만원짜리 계산서를 작성한 뒤 1305만원을 KB한마음에 리베이트 비용으로 돌려줬다”며 또 다른 제보내용을 공개했다.

제보자 A씨는 김씨가 국민은행 영등포지점장을 할 때 주거래고객으로 인연을 쌓고 이후 KB한마음에 용품을 댄 거래업체 관계자라고 말했다.

조 의원은 이번 사건을 국민은행을 사유화해서 비자금 마련의 통로로 삼으려 했던 권력형 비리로 규정했다. 세금 탈루 등 혐의가 드러난 만큼 국세청이 조사하고 검찰이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국민은행 측은 “납득이 가지 않는다”는 반응을 보였다. 글로벌 금융위기로 은행들의 감사활동이 철저한 시기에 계열사의 비자금 조성이 쉽겠느냐는 것이다. 또 정권이 바뀐 후인 2008년에 리베이트를 조성해 전 정권 실세들에게 제공했다는 점도 믿기 힘들다는 분위기다.

김씨 사건이 이미 경찰 수사를 거쳐 검찰에 송치됐던 사건인 만큼 이미 조사가 끝난 사안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조 의원은 “당시 조사에서는 이런 제보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