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노현 교육감 “일제고사 대비위한 수업 파행 향후 적발땐 징계할 것”

입력 2010-07-08 21:59


곽노현 서울시교육감은 8일 “시교육청 소속 장학사들에게 학업성취도 평가(일제고사)로 인한 일선 초·중·고교 수업 파행 실태를 전면 조사하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곽 교육감은 이어 13∼14일로 예정된 학업성취도 평가 실시 여부와 관련, “실태조사 결과를 보고 좀 더 고민할 부분이 있다”며 유보적인 입장을 취했다. 곽 교육감이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학업성취도 평가를 둘러싼 교육 당국과 진보 교육감들의 갈등 양상은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될 것으로 보인다.

곽 교육감은 시교육청에서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열고 “지난 6일부터 실태조사 계획을 세워 서울 지역 장학사 전원을 8일 각급 모든 학교에 급파했다”면서 “오늘(8일) 중으로 400여 학교에 대해 실태를 파악하고 9일까지 서울 지역 전체 학교를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상적으로 교과과정을 운영하고 있는지 아니면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비해) 문제풀이 수업을 하고 있는지, 방과후학교·보충수업·야간자율학습을 강제적으로 하고 있는지 등을 집중 살펴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곽 교육감은 이어 “지금까지 드러난 파행은 책임을 묻지 않겠지만 9일 이후 잘못된 사례가 발견되면 지시 불이행에 해당되므로 엄격한 감사를 거쳐 징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실태조사를 놓고 곽 교육감이 학업성취도 평가를 거부하기 위한 사전포석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그러나 곽 교육감이 “실사구시(實事求是)적으로 교육 행정을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혀 올해는 학업성취도 평가를 치르고 내년쯤 개별 학교에 선택권을 줄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다.

김상곤 경기도교육감은 학업성취도 평가의 수용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교육감도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갖고 학업성취도 평가와 관련, “비교육적이고 부작용 속에 강행하는 것이 부적절하지만 법령에 의해 추진되기에 공직자로서 준수할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현재까지 학업성취도 평가 거부 의사를 밝힌 곳은 전북·강원도교육청이다.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이날 오후 서울 태평로클럽에서 열린 전국 시·도 교육감 간담회에 참석해 학업성취도 평가 등 교육 현안에 대한 협조를 당부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