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어떻게 바뀌나… 국정기획수석 폐지, 서민정책·국민소통 비서관 신설

입력 2010-07-08 00:35


청와대가 7일 ‘2실장(대통령실장·정책실장), 8수석, 3기획관 1보좌관’에서 ‘2실장 8수석, 4기획관, 1보좌관’ 체제로 변경됐다. 기획관이 1명 늘었고, 비서관 자리는 2개가 늘었다. 지난해 8월 조직개편 이후 11개월 만의 청와대 시스템 개편이다.

사회통합수석이 신설됐고, 사회정책수석은 사회복지수석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국정기획수석실이 폐지되면서 정책실장 산하의 정책지원관(기획관급)으로 축소 변경됐다. 과학기술과 환경녹색성장 등을 담당하는 미래전략기획관이 신설됐다. 홍보수석실과 메시지기획관실이 홍보수석실로 통합됐으며, 2대변인 체제는 1대변인 체제로 복귀했다.

사회복지수석실 산하에 서민정책비서관실이 신설됐고, 총무기획관실 산하에도 총무비서관이 새로 생겼다. 사회통합수석실 산하에는 국민소통비서관이 신설됐다. 사회복지수석실은 서민정책비서관을 선임으로 기존 사회정책수석 산하의 보건복지, 여성가족, 고용노사비서관을 관장하게 됐다. 개별적으로 추진되던 친(親)서민정책과 생활공감정책이 함께 모색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는 게 청와대 설명이다.

여권 일각에서는 사회통합수석실의 역할이 애매하지 않느냐는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사회통합이라는 명칭 자체는 좋지만, 업무영역이 불투명하다는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통합이나 소통은 자세의 문제인데, 업무는 애매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2003년 노무현 정부 출범 당시 국민참여수석실이 신설됐다가 참여혁신수석실로 이름이 바뀌고, 결국 1년3개월 만에 폐지된 전례가 있다. 당시 국민참여라는 게 너무 추상적이었다는 비판이 있었다. 현 청와대에는 대통령 직속 사회통합위원회(위원장 고건)가 올해 초 출범해 활동 중이다.

아울러 미래전략기획관 산하에 과학기술비서관, 방송정보통신비서관, 환경녹색성장비서관을 배치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한민국 미래 대비에 보다 역점을 두기 위한 것”이라며 “과학기술분야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 조정 및 정보통신, 녹색성장 등 미래성장동력 분야를 담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존 기획관리비서관은 기획조정실로 바뀌었다. 민정수석 내 치안비서관은 정무수석 밑으로 이관됐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